유럽연합(EU)이 지난해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총 33만9,800톤의 향신료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유럽연합 통계청이 공개한 향신료 수입실적 자료를 보면 국가별로 볼 때 중국이 최대의 향신료 수입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수입한 향신료의 39%가 중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집계되었을 정도.
이와 함께 지난해 가장 많이 수입된 향신료는 생강(11만4,000톤)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파프리카(11만600톤), 후추(5만300톤)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국은 생강(43%)과 파프리카(73%)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베트남은 후추(63%)의 최대 공급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4위는 1만6,000톤이 수입된 강황이 차지했는데, 전체 수입량의 4분의 3 이상에 해당하는 79%가 인도에서 수입되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1만3,300톤이 수입된 계피가 강황의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유럽에 수입되는 계피의 35%가 베트남에서 선적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된 향신료의 양을 지난 2013년과 비교해 보면 44%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동안 유럽연합 각국은 각각 140%와 112% 크게 증가한 강황과 생강을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덕분에 강황과 생각은 가장 수입량이 크게 늘어난 향신료로 자리매김했다.
반면 후추는 지난 2013년 이래 수입량이 19% 뒷걸음친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양상을 내보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펙수클루'로 엮인 대웅제약·종근당, 4분기 실적 엇갈려 |
3 | 일본이 반한 K-뷰티, 대우가 달라졌다 |
4 | 릴리, ‘젭바운드’ 덕분 실적이 바운스 바운스♬ |
5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6 | 혁신형 제약기업 ‘리베이트 500만원’ 결격기준 수정…내달 행정예고 |
7 | 익산병원, '제이엘케이' 뇌졸중 AI 솔루션 도입…"선진 의료시스템 구축" |
8 | 한국병원약사회, 28대 집행부 첫 상임이사회 개최 |
9 | [뷰티누리×트렌디어] 효능주의 소비자 선택은 '스킨 부스터' |
10 | CG인바이츠, 헬스온클라우드와 해외 사업 확장 위한 MOU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유럽연합(EU)이 지난해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총 33만9,800톤의 향신료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유럽연합 통계청이 공개한 향신료 수입실적 자료를 보면 국가별로 볼 때 중국이 최대의 향신료 수입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수입한 향신료의 39%가 중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집계되었을 정도.
이와 함께 지난해 가장 많이 수입된 향신료는 생강(11만4,000톤)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파프리카(11만600톤), 후추(5만300톤)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국은 생강(43%)과 파프리카(73%)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베트남은 후추(63%)의 최대 공급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4위는 1만6,000톤이 수입된 강황이 차지했는데, 전체 수입량의 4분의 3 이상에 해당하는 79%가 인도에서 수입되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1만3,300톤이 수입된 계피가 강황의 뒤를 이어 5위를 차지했다.
유럽에 수입되는 계피의 35%가 베트남에서 선적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된 향신료의 양을 지난 2013년과 비교해 보면 44%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동안 유럽연합 각국은 각각 140%와 112% 크게 증가한 강황과 생강을 유럽 이외의 국가에서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덕분에 강황과 생각은 가장 수입량이 크게 늘어난 향신료로 자리매김했다.
반면 후추는 지난 2013년 이래 수입량이 19% 뒷걸음친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양상을 내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