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들 가운데 95%가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을 자축하기 위해 초콜렛과 사탕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크리스마스가 포함된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은 밸런타인 데이, 부활절 및 핼러윈 축제와 함께 연간 48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전체 제과류 매출액의 64%를 차지하는 4개 기간의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D.C.에 본부를 두고 있는 전미 제과협회(NCA)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의 지난해 제과류 매출액은 70억 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올해 같은 기간에는 최대 3%까지 실적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미 제과협회의 존 다운스 회장은 “초콜렛과 캔디가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의 필수품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초콜렛과 캔디는 연중 이 기간을 규정짓는 전통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크리스마스용 홍백색 가락엿을 의미하는 캔디 케인(candy canes)과 동전 초콜렛(chocolate coins)에서부터 강림절(크리스마스에 이르는 4주간) 달력과 집 모양 쿠키를 뜻하는 진저브레드 하우스 데코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제과류들이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이 함게 모여 자축하고 지나간 시간들을 회고할 때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 전미 제과협회의 조사결과를 보면 미국 소비자들의 50% 이상이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 선물의 한 부분로 초콜렛과 사탕을 구입해 서로 나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일 포장 초콜렛, 초콜렛이 들어간 작은 박스, 캔디 케인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위해 매달아 놓은 양말을 채우는 데 가장 빈도높게 사용될 정도라는 것.
마찬가지로 50% 이상의 미국 소비자들이 크리스마스 트리 또는 장식 패키지를 캔디 케인으로 장식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진저브레드 하우스 데코레이션 장식용으로는 젤리과자, 초콜렛, 캔디 케인, 구미 캔디 및 박하사탕 등이 가장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전미 제과협회는 미국민들이 한 주 동안 2~3차례에 걸쳐 초콜렛과 캔디를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1일 평균치로 환산하면 40칼로리 또는 티스푼 1개 분량의 설탕을 섭취하는 수준에 불과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전미 제과협회에 따르면 제과업계는 50개 주(州)에 걸쳐 총 1,600여곳의 제조시설을 가동하고 있고, 총 5만8,000명에 육박하는 인원을 직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다.
여기에 추가로 63만5,000여명이 간접고용의 형태로 제과업계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박셀바이오,'에이엘바이오텍' 합병..이중항체 기반 파이프라인 확대 |
3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4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5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6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7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8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9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10 | 칼리시-셀프리 사이언스, 혁신 신약 개발 -치료제 연구 MOU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미국 소비자들 가운데 95%가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을 자축하기 위해 초콜렛과 사탕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크리스마스가 포함된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은 밸런타인 데이, 부활절 및 핼러윈 축제와 함께 연간 48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전체 제과류 매출액의 64%를 차지하는 4개 기간의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D.C.에 본부를 두고 있는 전미 제과협회(NCA)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의 지난해 제과류 매출액은 70억 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올해 같은 기간에는 최대 3%까지 실적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미 제과협회의 존 다운스 회장은 “초콜렛과 캔디가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의 필수품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초콜렛과 캔디는 연중 이 기간을 규정짓는 전통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크리스마스용 홍백색 가락엿을 의미하는 캔디 케인(candy canes)과 동전 초콜렛(chocolate coins)에서부터 강림절(크리스마스에 이르는 4주간) 달력과 집 모양 쿠키를 뜻하는 진저브레드 하우스 데코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제과류들이 여러 세대에 걸친 가족이 함게 모여 자축하고 지나간 시간들을 회고할 때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와 관련, 전미 제과협회의 조사결과를 보면 미국 소비자들의 50% 이상이 겨울철 홀리데이 시즌 선물의 한 부분로 초콜렛과 사탕을 구입해 서로 나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일 포장 초콜렛, 초콜렛이 들어간 작은 박스, 캔디 케인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위해 매달아 놓은 양말을 채우는 데 가장 빈도높게 사용될 정도라는 것.
마찬가지로 50% 이상의 미국 소비자들이 크리스마스 트리 또는 장식 패키지를 캔디 케인으로 장식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진저브레드 하우스 데코레이션 장식용으로는 젤리과자, 초콜렛, 캔디 케인, 구미 캔디 및 박하사탕 등이 가장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전미 제과협회는 미국민들이 한 주 동안 2~3차례에 걸쳐 초콜렛과 캔디를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1일 평균치로 환산하면 40칼로리 또는 티스푼 1개 분량의 설탕을 섭취하는 수준에 불과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전미 제과협회에 따르면 제과업계는 50개 주(州)에 걸쳐 총 1,600여곳의 제조시설을 가동하고 있고, 총 5만8,000명에 육박하는 인원을 직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다.
여기에 추가로 63만5,000여명이 간접고용의 형태로 제과업계에 힘을 보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