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통조림 참치 마켓 2031년이면 127.7억弗
2024년 89.4억弗 규모서 연평균 4.56% 성장 지속
입력 2024.12.02 15:10 수정 2024.12.02 15:1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글로벌 통조림 참치(canned tuna) 마켓이 2024~2031년 기간 동안 연평균 4.56%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올해 89억4,0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보이는 이 시장이 오는 2031년에 이르면 127억7,000만 달러 사이즈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미국 델라웨어주의 소도시 루이스에 본사를 둔 시장분석기관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는 29일 공개한 ‘글로벌 통조림 참치 시장규모’ 보고서에서 이 같이 예측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조림 참치 시장은 간편하면서도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의 원하는 소비자들의 수요확대와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혁신에 힘입어 탄탄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통조림 참치 시장이 식품기업들과 유통업체들로부터 지속적으로 괄목할 만하게 매력있는 마켓으로 시선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를 보면 즉석식품과 단백질을 풍성하게 함유한 식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이 부각되면서 차후 통조림 참치 시장이 성장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참치는 단백질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해 건강한 삶을 강조하는 추세와 부합되는 식품이라는 장점이 눈에 띈다.

이 같은 추세는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 뿐 아니라 식품 공급기업 측에도 통조림 참치 수요가 갈수록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게하는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뒤이어 보고서는 지속가능성이 통조림 참치 시장을 변화시키는 요인의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윤리적으로 조달된 식품을 선호하고 있고, 식품기업들도 지속가능어업의 국제표준 도입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비영리기구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의 인증을 취득하고 친환경적인 상품라벨 도입을 이행하는 데 적극 나서고 있다는 것.

이 같은 노력은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 화답하는 한편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지속가능한 어업을 요구하는 추세는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혁신을 촉진하고 투자와 협력을 장려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공급경로와 관련, 보고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채널이 발빠르게 성장하면서 통조림 참치 시장에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이 개별 통조림 참치 업체들이 대규모의 소비자들에게 다가서는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슈퍼마켓과 대형마트들도 통조림 참치를 프리미엄 건강식품 부문으로 옮겨 진열해 소비자 노출과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식재료의 하나로서 참치 가격의 불안정성 측면을 언급했다.

예측할 수 없는 어획량과 치솟는 유가(油價)가 통조림 참치 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관련 식품기업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예측 불가능성은 비용상승과 수익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그 결과 관련 식품업체들이 비용절감을 위한 대안을 찾아 나서면서 혁신과 신제품 개발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눈에 띄고 있다고 꼬집었다.

남획을 방지하고 수산물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 어업 및 식품 안전성 규제 또한 통조림 참치 시장에 주요한 도전요인의 하나로 고개를 들고 있다고 환기시켰다.

이 같은 현실은 소규모 업체들에게 과중한 비용부담 문제를 낳고 있고, 이로 인해 시장에서 존재감이 제한되고 성장이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밖에 갈수록 인기가 고조되고 있는 식물성(plant-based) 수산물 대체식품 또한 통조림 참치 시장에 도전요인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면서 주의를 환기시켰다.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하고 비건(vegan) 단백질 공급원을 원하기에 이르면서 혁신적인 식물성 수산물들이 시장에 신규진입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전통적인 통조림 참치를 대체하는 기류가 고개를 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입맛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 업체들은 식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투자를 늘리면서 성장이 저해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통조림 참치 시장은 아시아‧태평양지역과 유럽지역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글로벌 통조림 참치 마켓 2031년이면 127.7억弗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글로벌 통조림 참치 마켓 2031년이면 127.7억弗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