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팔메토 베리 시장 2035년까지 年 5.6% 확대
2023년 1.72억弗서 2035년 3.25억弗 규모로 성장
입력 2024.06.27 17:38 수정 2024.06.27 17:3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쏘팔메토 보충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쏘팔메토 베리(saw palmetto berries) 시장이 2024~2035년 기간 동안 연평균 5.6% 확대를 거듭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억7,24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한 이 시장이 오는 2035년에 이르면 3억2,560만 달러 규모로 2배 가까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다.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는 26일 공개한 ‘제형별, 소재별, 용도별 쏘팔메토 베리 시장: 글로벌 기회 분석 및 2024~2035년 업계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처럼 쏘팔메토 베리 시장이 상승곡선을 이어갈 수 있으리라 내다본 사유의 하나로 쏘팔메토 베리가 건강에 미치는 유익성에 대한 인식확대를 꼽았다.

특히 전립선 건강 촉진과 비뇨기 증상 관리와 관련해서 수요가 강하게 촉발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와 함께 천연물 제제와 식물성 보충제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 또한 시장확대를 가속화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북미와 유럽 각국을 중심으로 고령층 인구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 역시 이들의 전립선 건강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쏘팔메토 베리 시장이 성장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이밖에 추출기술의 진보와 캡슐제, 추출물 및 오일류 등 다양한 제형의 쏘팔메노 제품들이 활발하게 발매되기에 이름에 따라 시장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점 또한 빼놓지 않았다.

보고서에서 제형별로 보면 파우더 부문이 지난해 전체 시장의 40% 이상을 점유하면서 최대의 마켓셰어를 과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우더 부문은 오는 2035년까지도 시장에서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서는 단언했다.

그 이유로 보고서는 쏘팔메토 베리 파우더가 캡슐제에서부터 정제, 차(茶) 및 기능성 식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안정성과 방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한 보관상의 장점은 제조업체 뿐 아니라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천연물 건강 솔루션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게다가 파우더 제형은 표준화된 용량을 준수하기가 용이해 일관된 효능과 역가를 가능케 해 주는데, 이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과 같은 증상들을 겨냥한 건강보충제들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체내 흡수가 잘 되는 데다 생리활성성분의 생체이용 효율이 높다는 점 또한 쏘팔메토 베리의 대중적인 인기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재별로 보면 오가닉 부문이 지난해 쏘팔레토 베리 시장에서 창출된 매출액의 50% 이상을 점유하면서 최대의 마켓셰어를 차지한 데 이어 오는 2035년까지 현재의 지위를 고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천연물, 그리고 화학성분이 없는(chemical-free)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이 건강과 환경의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들과 눈높이를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보고서의 분석이다.

실제로 오가닉 쏘팔메토 베리는 합성 살충제와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되고 있는 데다 유전자 변형(GMOs)과도 무관하다는 장점이 건강을 중시하고 순도와 지속가능성에 이끌리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추세가 밀레니얼 세대와 클린-라벨(clean-label) 제품을 추구하는 개별 소비자들에게서 강력한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고, 오가닉 쏘팔메토 베리를 원하는 수요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서 용도별로 보면 기능성 보충제 부문이 지난해 전체 시장의 50%에 가까운 몫을 점유한 가운데 오는 2035년까지 현재의 위치에 흔들림이 없을 것으로 추측됐다.

쏘팔메토 베리 보충제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관리하는 데 폭넓게 사용되면서 고령층 뿐 아니라 비뇨기 건강에 관심이 높은 남성 소비자들에게서 대중적인 인기를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보고서는 캡슐제, 정제 및 연질 젤 등 다양한 기능성 보충제들의 제형이 간편하고 손쉬운 섭취를 가능케 해 주고 있고, 이 같은 장점이 심플하면서 효과적인 건강 솔루션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취향과 맞아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예방의료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추세 역시 건강과 웰빙을 유지하기 위해 기능성 보충제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소비를 끌어올리고 있음을 환기시키기도 했다.

쏘팔메토 베리가 체내의 호르몬 균형을 뒷받침하고 전체적인 웰빙 향상에도 도움을 주면서 수요확대로 이어지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시선을 돌렸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태평양시장이 오는 2035년까지 최대의 마켓셰어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북미시장 또한 기능성 보충제 업계가 탄탄하게 구축되어 있다는 강점에 힘입어 소비자들의 인식도가 높고 수요 또한 높게 일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고령층 남성들의 전립선 건강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현실은 쏘팔메토 보충제 시장의 확대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쏘팔메토 보충제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에 대한 미국과 캐나다 남성 소비자들의 인식도가 이미 탄탄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쏘팔메토 베리 시장 2035년까지 年 5.6% 확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쏘팔메토 베리 시장 2035년까지 年 5.6% 확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