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감이 현실로 확인되기 시작한 2024년의 전반기였다.
전반적인 경기상황이 좋지 않게 흘러가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영향권에 들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을 줄였다는 조사가 나오는가 하면, 매년 해외직구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던 건강식품 해외직구도 뚜렷한 정체 기미를 보이며 순위가 3위로 하락했다.
건기식 시장의 대목이라 불리던 5월의 검색량은 3년째 줄어드는 상황이다.
그나마 위안인 것은 비타민K2가 고시되고 지난해 40여 품목의 개별인정형 원료가 시장에 편입되며 어느정도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는 부분이다.
건강기능식품 검색량 갈수록 하락
건강기능식품 주요품목 검색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022년을 기준으로 연매출 100억원 이상을 기록한 고시형 23품목과 개별인정형 19품목의 5월 네이버 검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검색량이 하락한 모습이 포착됐다.
상당수 품목이 30% 가량의 검색수 하락을 보여 하락폭도 컸다.
주목할 부분은 검색수의 전반적인 하락세가 2021년 이후 3년간 계속되고 있다는 부분이다.
시장이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든 것이 가장 주요한 요인.
시장 성장기에 공격적 마케팅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검색 거품이 빠지면서 전반적 검색량이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건강기능식품 소비 경향이 변한 것도 5월 검색량에 영향을 줬다. 전통적으로 5월 검색량과 판매량이 높았던 것은 자가 섭취 수요에 선물 수요가 겹쳤기 때문.
그러나 현재는 건강기능식품을 선물로 구매하는 경우보다는 자가 섭취 용도로 구매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 졌다.
5월이라고 해서 특별히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나 관심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별 품목으로 살펴봤을 때는 EPA 및 DHA 함유유지, 프로바이오틱스,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 밀크씨슬추출물 등과 관련한 검색이 많았다.
EPA 및 DHA 함유유지는 2년 연속으로 검색수 1위를 지켜 현재 가장 인기있는 품목임을 입증했다.
프로바이오틱스 역시 2위를 기록하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박셀바이오,'에이엘바이오텍' 합병..이중항체 기반 파이프라인 확대 |
3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4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5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6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7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8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9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10 | 칼리시-셀프리 사이언스, 혁신 신약 개발 -치료제 연구 MOU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위기감이 현실로 확인되기 시작한 2024년의 전반기였다.
전반적인 경기상황이 좋지 않게 흘러가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영향권에 들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을 줄였다는 조사가 나오는가 하면, 매년 해외직구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던 건강식품 해외직구도 뚜렷한 정체 기미를 보이며 순위가 3위로 하락했다.
건기식 시장의 대목이라 불리던 5월의 검색량은 3년째 줄어드는 상황이다.
그나마 위안인 것은 비타민K2가 고시되고 지난해 40여 품목의 개별인정형 원료가 시장에 편입되며 어느정도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는 부분이다.
건강기능식품 검색량 갈수록 하락
건강기능식품 주요품목 검색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022년을 기준으로 연매출 100억원 이상을 기록한 고시형 23품목과 개별인정형 19품목의 5월 네이버 검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검색량이 하락한 모습이 포착됐다.
상당수 품목이 30% 가량의 검색수 하락을 보여 하락폭도 컸다.
주목할 부분은 검색수의 전반적인 하락세가 2021년 이후 3년간 계속되고 있다는 부분이다.
시장이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든 것이 가장 주요한 요인.
시장 성장기에 공격적 마케팅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검색 거품이 빠지면서 전반적 검색량이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건강기능식품 소비 경향이 변한 것도 5월 검색량에 영향을 줬다. 전통적으로 5월 검색량과 판매량이 높았던 것은 자가 섭취 수요에 선물 수요가 겹쳤기 때문.
그러나 현재는 건강기능식품을 선물로 구매하는 경우보다는 자가 섭취 용도로 구매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 졌다.
5월이라고 해서 특별히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나 관심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개별 품목으로 살펴봤을 때는 EPA 및 DHA 함유유지, 프로바이오틱스,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 밀크씨슬추출물 등과 관련한 검색이 많았다.
EPA 및 DHA 함유유지는 2년 연속으로 검색수 1위를 지켜 현재 가장 인기있는 품목임을 입증했다.
프로바이오틱스 역시 2위를 기록하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