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비자들의 절반 가까이는 마트나 온라인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를 살펴본 결과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로 대형할인점을 꼽은 소비자는 27.3%, 온라인을 꼽은 소비자는 21.4%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0년 21%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던 약국의 비중은 3년째 감소해 지난해에는 12.6%까지 떨어지는 모습이다.
또 지난해 많이 구입한 품목으로는 비타민류와 인삼, 유산균, 오메가-3 등이 꼽혔다.
마트‧온라인이 건기식 주 구입처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 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우리 소비자들은 대형할인점이나 온라인에서 건강기능식품을 주로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로 대형할인점을 꼽은 소비자는 27.3%, 온라인을 꼽은 소비자는 21.4%에 달했다.
절반 가까이가 두 유통채널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하고 있었던 것.
그 외에는 TV홈쇼핑이 13.2%, 드럭스토어 및 약국이 12.6%, 특정상표 대리점이 12%를 기록해 뒤를 이었다. (표1. 참조)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 조사 결과에서 두드러진 점은 드럭스토어‧약국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건강기능식품 주 구입처로 약국을 꼽은 응답은 2020년 21.2%로 최고점을 찍은 후, 2021년 15.3%, 2022년 13.8%, 2023년 12.6%로 3년째 감소하고 있다.
반면 브랜드 대리점은 2021년 7.6%로 비중이 크게 줄어든 후 꾸준히 상승해 2023년에는 12%로 두 자리 점유율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디앤디파마텍 "GLP-1, 당뇨 치료제로 개발 이후 타깃 질환 확장" |
2 | 이엔셀, 루시바이오텍에 희귀질환 신약 'EN001' L/O 성공…추가 전략적 협약 체결 |
3 | EGFR 폐암, ‘리브리반트’+‘렉라자’>‘타그리소’ |
4 | 2024년 상반기 상품매출 톱5, 코스피 광동제약∙유한양행∙종근당∙GC녹십자∙보령 |
5 | 현대바이오 "제프티,코로나19· 엠폭스 ·뎅기열 동시 치료" |
6 | 에스티팜,틴키라제 항암제 'STP1002' 미국 임상1상 결과 공개 |
7 | 한미약품 ‘체중 감량 + 근육 증가’ 신개념 비만신약 첫 공개 |
8 | 대한약사회-16개시도지부, 용산에서 릴레이 1인 시위 돌입 |
9 | 엑셀세라퓨틱스,엑소좀 자동화 분리정제장비 ‘엑소더스 T-2800’ 출시 |
10 | '약사 정책 通' 박영달 회장 "약사회, 강력한 투쟁 의지로 개혁해야"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해 소비자들의 절반 가까이는 마트나 온라인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를 살펴본 결과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로 대형할인점을 꼽은 소비자는 27.3%, 온라인을 꼽은 소비자는 21.4%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20년 21%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던 약국의 비중은 3년째 감소해 지난해에는 12.6%까지 떨어지는 모습이다.
또 지난해 많이 구입한 품목으로는 비타민류와 인삼, 유산균, 오메가-3 등이 꼽혔다.
마트‧온라인이 건기식 주 구입처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 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우리 소비자들은 대형할인점이나 온라인에서 건강기능식품을 주로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로 대형할인점을 꼽은 소비자는 27.3%, 온라인을 꼽은 소비자는 21.4%에 달했다.
절반 가까이가 두 유통채널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하고 있었던 것.
그 외에는 TV홈쇼핑이 13.2%, 드럭스토어 및 약국이 12.6%, 특정상표 대리점이 12%를 기록해 뒤를 이었다. (표1. 참조)
건강기능식품 주요 구입처 조사 결과에서 두드러진 점은 드럭스토어‧약국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건강기능식품 주 구입처로 약국을 꼽은 응답은 2020년 21.2%로 최고점을 찍은 후, 2021년 15.3%, 2022년 13.8%, 2023년 12.6%로 3년째 감소하고 있다.
반면 브랜드 대리점은 2021년 7.6%로 비중이 크게 줄어든 후 꾸준히 상승해 2023년에는 12%로 두 자리 점유율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