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구당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이 연간 약 32만원 수준을 기록해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트라덱스가 농림축산식품부 가공식품 소비자태도 조사를 참고해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16.5% 수준으로 큰폭의 증가세를 나타낸 것.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20대인 가구에서 건강기능식품 소비를 크게 늘려 전체적인 성장세를 이끌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1인 가구의 증가와 20대 연령층의 건강기능식품 소비 증가가 이 같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가구당 연 32만원 구입
지난해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가구당 연 32만원 가량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공개한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자료를 기초로 본지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연간 건강기능식품 소비액은 318,482원을 기록해 273,456원을 기록했던 2021년보다 1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5년간의 추세를 보면 가구당 건강기능식품 소비액은 2019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해온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20년과 2022년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았는데, 2020년의 경우는 2019년 건강기능식품 소비액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2022년은 실제 시장 확대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2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3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4 | 씨엔알리서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성공, 협력·소통이 답" |
5 | 감기 증상 소아에 정신과약,남성에 사후피임약...처방오류 '심각'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새 의약품유통협회장, 강한 협회 만들고 중소업체 목소리 들을 수 있어야" |
8 | 파마리서치, 케이메디허브와 MOU 체결 |
9 | 노바티스 ‘키스칼리’ 유방암 재발 위험 25% ↓ |
10 | 요양병원 평가결과 공개...'질지원금' 첫 적용해 7월 보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해 가구당 건강기능식품 구매액이 연간 약 32만원 수준을 기록해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트라덱스가 농림축산식품부 가공식품 소비자태도 조사를 참고해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16.5% 수준으로 큰폭의 증가세를 나타낸 것.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20대인 가구에서 건강기능식품 소비를 크게 늘려 전체적인 성장세를 이끌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1인 가구의 증가와 20대 연령층의 건강기능식품 소비 증가가 이 같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가구당 연 32만원 구입
지난해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가구당 연 32만원 가량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공개한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자료를 기초로 본지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연간 건강기능식품 소비액은 318,482원을 기록해 273,456원을 기록했던 2021년보다 1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5년간의 추세를 보면 가구당 건강기능식품 소비액은 2019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해온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20년과 2022년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았는데, 2020년의 경우는 2019년 건강기능식품 소비액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2022년은 실제 시장 확대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