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 스낵 글로벌 마켓 年 7.05% 확대 전망
지난해 100.5억弗서 2028년 151.3억弗로 성장
입력 2023.04.20 16:35 수정 2023.04.20 16:3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글로벌 육류 스낵(meat snacks) 시장이 지난해 100억5,000만 달러 규모에 달한 데 이어 올해 107억6,000만 달러 볼륨 도달을 거쳐 오는 2028년이면 151억3,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부터 2028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이 시장이 연평균 7.05% 확대를 거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아일랜드 더블린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마켓은 19일 공개한 ‘유형별, 원료별, 영역별, 포장별, 유통경로별, 지역별 글로벌 육류 스낵 마켓 분석과 시장규모, 트렌드, 코로나의 영향, 오는 2028년까지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추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육류 스낵 시장은 편리하고 건강에 유익한 스낵류를 원하는 수요가 부쩍 높아진 데다 바쁜 라이프스타일이 확산되면서 단백질 함량이 높고 간편한 식생활을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최근들어 확대를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육류 스낵의 높은 고단백 영양학적 유익성에 대한 인식 확대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됐다.

급속한 도시화 추세와 전자상거래의 괄목할 만한 성장, 건강‧웰빙 트렌드의 고조, 간편한 스낵류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선호도 증가 등도 육류 스낵 시장이 납작하게 엎드려 있지 않도록 견인하는 요인들로 열거됐다.

하지만 건강을 걱정하는 추세의 확산으로 건강에 유익한 스낵류를 찾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저지방, 저나트륨 및 무방부제 및 식물성 대안을 요구하는 최근의 트렌드는 육류 스낵 시장이 확대되는 데 걸림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추측했다.

스낵류 업체들의 첨예한 경쟁 또한 시장이 성장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지속가능하고 윤리적인 제조기술의 선택이 앞으로 육류 스낵 시장에서 수요를 더욱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내다봤다.

환경과 윤리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크게 높아진 데다 식품 생산과정에서 투명성과 책임감을 중시하는 경향 또한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밖에도 보고서는 생산과정에서 인공지능(AI)의 적용, 공유주방의 확대, 실험실에서 키우거나 배양한 육류, 크기가 작고 간편하면서 환경친화적인 포장, 식물성 기반 대안의 성장 등을 육류 스낵 시장에서 감안해야 할 요인들로 손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육류 스낵 시장은 유형별로 볼 때 훈제 육포 및 말린 육포(jerky), 스틱형 육포, 소시지 및 기타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 중 보고서는 젊은층에 어필하고 있는 스틱형 육포가 가장 발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휴대가 간편한 데다 유통기간이 길고, 단백질 함량이 높은 점 등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면서 영양가 높은 스낵류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원료별로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기타 등으로 분류되고 있는 가운데 이 중 닭고기 원료 부문이 단백질 함량과 낮은 지방 함량 등에 힘입어 가장 발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견했다.

닭고기가 적색 육류에 비해 좀 더 지속가능하고 생태친화적이어서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유통경로별로 보면 온라인 부문이 제품간 비교의 편리함과 고객 리뷰 접근성, 유리한 판촉활동 등의 장점에 힘입어 가장 발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자택이나 직장에서 손쉽게 구입을 신청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별 선택이 가능하고, 풍미와 유형 등을 손가락 끝 하나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북미시장이 지배적인 마켓셰어를 계속 점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2023~2028년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지역으로 보고서는 아시아‧태평양시장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이 지역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도가 부쩍 높아진 데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스낵류에 대한 수요가 고조되고 있고, 권역 내 이머징 경제권의 온라인 육류 매출이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권역 내 이머징 경제권으로 보고서는 인도,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등을 열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육류 스낵 글로벌 마켓 年 7.05% 확대 전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육류 스낵 글로벌 마켓 年 7.05% 확대 전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