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의 1분기 중국과 일본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중국 시장에 리오프닝 바람이 불기 시작했지만 LG생활건강의 실적이 살아나진 못했다.
2023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올해 1분기 중국 매출은 1934억원으로 2022년과 비교해 무려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시장에서 매출은 전기대비해서도 39%나 감소를 기록했다. 중국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현지 화장품 사업 부진이 이어진 탓이다. 실적이 줄면서 지역별 매출에서 중국시장 비중은 전년대비 2%p 하락한 11%를 보였다.
같은 기간 일본 매출은 전년비 13%, 전기비 15% 줄어든 90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비율은 5%로 집계됐다. 기타 아시아 시장에서 매출은 623억원으로 전년비 8% 감소하는데 그쳤고 전년대비는 7% 증가율을 기록했다. LG생건 분기 매출에서 일본의 비중은 5%였다.
이 때문에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 비중을 줄이고, 해외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LG생활건강의 북미 매출액은 1500억원으로 전년대비 26% 증가세였다. 북미 매출 비율은 9%이다.
중남미 매출 역시 20억원으로 2022년 1분기와 비교해 13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유럽과 국내 사업은 성장세였다. 유럽과 국내 매출은 각각 5%, 4% 늘어난 147억원, 1조 1673억원을 거뒀다. 국내 매출은 직전 4분기와 견줘서도 3%대 성장률을 보였다. 매출 비율은 유럽 1%, 국내사업은 69%에 달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2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3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4 | 씨엔알리서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성공, 협력·소통이 답" |
5 | 감기 증상 소아에 정신과약,남성에 사후피임약...처방오류 '심각'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새 의약품유통협회장, 강한 협회 만들고 중소업체 목소리 들을 수 있어야" |
8 | 파마리서치, 케이메디허브와 MOU 체결 |
9 | 노바티스 ‘키스칼리’ 유방암 재발 위험 25% ↓ |
10 | 요양병원 평가결과 공개...'질지원금' 첫 적용해 7월 보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LG생활건강의 1분기 중국과 일본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중국 시장에 리오프닝 바람이 불기 시작했지만 LG생활건강의 실적이 살아나진 못했다.
2023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의 올해 1분기 중국 매출은 1934억원으로 2022년과 비교해 무려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시장에서 매출은 전기대비해서도 39%나 감소를 기록했다. 중국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현지 화장품 사업 부진이 이어진 탓이다. 실적이 줄면서 지역별 매출에서 중국시장 비중은 전년대비 2%p 하락한 11%를 보였다.
같은 기간 일본 매출은 전년비 13%, 전기비 15% 줄어든 90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비율은 5%로 집계됐다. 기타 아시아 시장에서 매출은 623억원으로 전년비 8% 감소하는데 그쳤고 전년대비는 7% 증가율을 기록했다. LG생건 분기 매출에서 일본의 비중은 5%였다.
이 때문에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 비중을 줄이고, 해외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LG생활건강의 북미 매출액은 1500억원으로 전년대비 26% 증가세였다. 북미 매출 비율은 9%이다.
중남미 매출 역시 20억원으로 2022년 1분기와 비교해 13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유럽과 국내 사업은 성장세였다. 유럽과 국내 매출은 각각 5%, 4% 늘어난 147억원, 1조 1673억원을 거뒀다. 국내 매출은 직전 4분기와 견줘서도 3%대 성장률을 보였다. 매출 비율은 유럽 1%, 국내사업은 6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