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대표이사 김영주)은 지난 15일 가정의 달을 맞아 서울 본사 15층 대회의실에서 임직원과 가족 구성원의 신장 건강 관리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사내 ‘CKD 건강강좌’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CKD 건강강좌’는 종근당의 영문 이니셜(Chong Kun Dang)에 맞춰 ‘Check for Kidney disease with type 2 Diabetes’의 의미를 담아 ‘우리 가족 신장 건강 지키는 첫걸음, 침묵의 질환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조기발견이 중요합니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강연은 고려대학교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가 맡아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의 조기진단과 예방, 관리, 치료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2형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만성 신장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 중 약 40%에서 만성 신장병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 신장병은 투석이나 이식 등의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신장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당뇨병성 신장병 연평균증감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고, 10여 년 전 대비 당뇨병과 관련된 말기 신장병유병률이 약 30% 증가해 주의가 필요하다.
김교수는 “신장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되기 어려워 당뇨병환자라면 평소 신장 건강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그러나 당뇨병성 만성 신장병은 증상없이 조용히 진행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사구체 여과율과 알부민뇨검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신장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교수는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환자에서 투석으로의 진행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주기적인 신장 검사를 통해 조기에 신장병을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신장병을 진단받았다면 신장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식이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칼륨 함유가 높은 식품을 피하고 염분을 제한해 섭취해야 하며 적절한 수분 섭취와 꾸준한 운동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김 교수는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환자는 이 병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대비 고혈압, 비만 등 다른 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고, 심혈관계 사망률도 증가해 적절한 약물 치료로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새로운 기전의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치료제로 만성신장병의 예후와 관련이 있는 알부민뇨를 감소시키고 투석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케렌디아는 신장과 심장의 염증과 섬유화에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로, 알부민뇨(UACR) 감소, 만성 신장병 진행 억제, 심혈관 위험 감소 등의 효과를 확인했다.
종근당 김영주 대표이사는 “2형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은 ‘침묵의 질환’이라고 불릴 만큼 조용히 진행되어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건강 강좌가 임직원들에게 신장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상 속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종근당은 다양한 건강증진 활동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국민추천’ 두 번째로 많았다는데…늦어지는 복지부 장관 후보 인선 |
2 | 에이비온, 총 1조8000억원 규모 'ABN501' 공동개발·라이선스 계약 |
3 | 대한약사회, '창고형 약국' 강력 반대…"약사 정체성 훼손 일탈행위" |
4 | 키트루다 담도암 1주년…"유연한 치료 전략 장점 더해 부분급여 적용 시 환자 부담 경감 기대” |
5 | "엑소좀과 단백질이 만났다…정밀의학 판이 바뀐다" |
6 | 노보 노디스크 아미크레틴 “체중감소 정체 없다” |
7 | [히트상품톺아보기] ㉓속수분 진정 혁명 '이니스프리 그린티 세럼' |
8 | HLB테라퓨틱스, NK 치료제 유럽 임상3상 1차 평가지표 통계적 유의성 미확보 |
9 | 에스씨엠생명, 인천 송도 CGMP 신축 투자 철회 |
10 | 디티앤씨알오 "보스턴서 레디어스 리서치와 한국 유망 바이오텍 알리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종근당(대표이사 김영주)은 지난 15일 가정의 달을 맞아 서울 본사 15층 대회의실에서 임직원과 가족 구성원의 신장 건강 관리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사내 ‘CKD 건강강좌’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CKD 건강강좌’는 종근당의 영문 이니셜(Chong Kun Dang)에 맞춰 ‘Check for Kidney disease with type 2 Diabetes’의 의미를 담아 ‘우리 가족 신장 건강 지키는 첫걸음, 침묵의 질환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조기발견이 중요합니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강연은 고려대학교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가 맡아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의 조기진단과 예방, 관리, 치료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2형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만성 신장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 중 약 40%에서 만성 신장병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 신장병은 투석이나 이식 등의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신장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당뇨병성 신장병 연평균증감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고, 10여 년 전 대비 당뇨병과 관련된 말기 신장병유병률이 약 30% 증가해 주의가 필요하다.
김교수는 “신장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되기 어려워 당뇨병환자라면 평소 신장 건강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그러나 당뇨병성 만성 신장병은 증상없이 조용히 진행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사구체 여과율과 알부민뇨검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신장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교수는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환자에서 투석으로의 진행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주기적인 신장 검사를 통해 조기에 신장병을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신장병을 진단받았다면 신장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식이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칼륨 함유가 높은 식품을 피하고 염분을 제한해 섭취해야 하며 적절한 수분 섭취와 꾸준한 운동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김 교수는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환자는 이 병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대비 고혈압, 비만 등 다른 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고, 심혈관계 사망률도 증가해 적절한 약물 치료로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새로운 기전의 2형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치료제로 만성신장병의 예후와 관련이 있는 알부민뇨를 감소시키고 투석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케렌디아는 신장과 심장의 염증과 섬유화에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로, 알부민뇨(UACR) 감소, 만성 신장병 진행 억제, 심혈관 위험 감소 등의 효과를 확인했다.
종근당 김영주 대표이사는 “2형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은 ‘침묵의 질환’이라고 불릴 만큼 조용히 진행되어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건강 강좌가 임직원들에게 신장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일상 속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종근당은 다양한 건강증진 활동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