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지니어는 지난 1일부로 Johnson & Johnson Innovation JLABS @ Shanghai(이하 'JLABS')에 입주하게 됐다고 13일 발표했다.
JLABS는 세계적인 수준의 생명과학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으로, 혁신적인 생태계의 글로벌 네트워크을 이용해 혁신적인 바이오텍이 전 세계 환자들에게 건강 및 웰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JLABS는 제약, 의료기기, 소비자 제품, 헬스 테크 분야에서 창업가들이 헬스케어 솔루션을 환자와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혁신의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프로지니어는 TLR 7/8 기반의 세포성 면역증강제 플랫폼인 ProLNG 기술을 바탕으로 림프종 타깃의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 및 고형암 타깃의 면역항암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또한 ProLNG의 세포성 면역 특성을 활용하여 바이러스 백신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프로지니어는 ProLNG 기술보호를 위해 국내를 포함한 주요 11개국에 특허 출원하고 있으며, 이미 주요 4개국에 특허가 등록됐다. 또한 특이적인 면역활성과 낮은 독성 프로필을 강점으로 2024년, 6건의 MTA(물질이전계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화의 주요단계를 달성함으로써 회사의 혁신적인 플랫폼을 실질적인 사업모델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프로지니어 김철 대표는 “이번 JLABS 입주를 통해 적극 ProLNG 어쥬번트를 적용할 수 있는 백신 개발 파트너를 찾고, 다양한 질병 개선에 대한 미충족 수요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퍼스트 인 클래스 신약인 BCR 이디오타입 암 백신 파이프라인을 연내 임상단계로 올려놓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건기식 9종, 섭취량 등 기준규격 변경 |
2 | CAR-T 치료제, 혈액암 치료 패러다임 전환을 |
3 | 리가켐바이오, AACR서 STING 작용제 포함 5건 전임상 결과 발표 |
4 | 큐리언트 '텔라세벡', WHO 글로벌 회의서 임상 중간결과 발표 |
5 | 숙취해소제,과학적 효능 입증 시대 개막..희비 교차-시장 재편 가속 |
6 | [창간 71주년] 클립스비엔씨, 글로벌 백신 3상 수행…국내외 ‘백신’ 개발 선도 |
7 | 코오롱생명과학, 지난해 순손실 931억원…수익성 회복 '당면 과제' |
8 | [창간 71주년] 신약개발 숨은 주역 CRO…제약바이오 산업 핵심 파트너 부상 |
9 | 면세점은 여전히 '악' 소리…비용절감에 민·관 한뜻 |
10 | [창간 71주년] 디티앤씨알오,국내 최초 비임상서 임상까지 전 과정 'Full-Service CRO'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프로지니어는 지난 1일부로 Johnson & Johnson Innovation JLABS @ Shanghai(이하 'JLABS')에 입주하게 됐다고 13일 발표했다.
JLABS는 세계적인 수준의 생명과학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으로, 혁신적인 생태계의 글로벌 네트워크을 이용해 혁신적인 바이오텍이 전 세계 환자들에게 건강 및 웰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JLABS는 제약, 의료기기, 소비자 제품, 헬스 테크 분야에서 창업가들이 헬스케어 솔루션을 환자와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혁신의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프로지니어는 TLR 7/8 기반의 세포성 면역증강제 플랫폼인 ProLNG 기술을 바탕으로 림프종 타깃의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 및 고형암 타깃의 면역항암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또한 ProLNG의 세포성 면역 특성을 활용하여 바이러스 백신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프로지니어는 ProLNG 기술보호를 위해 국내를 포함한 주요 11개국에 특허 출원하고 있으며, 이미 주요 4개국에 특허가 등록됐다. 또한 특이적인 면역활성과 낮은 독성 프로필을 강점으로 2024년, 6건의 MTA(물질이전계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화의 주요단계를 달성함으로써 회사의 혁신적인 플랫폼을 실질적인 사업모델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프로지니어 김철 대표는 “이번 JLABS 입주를 통해 적극 ProLNG 어쥬번트를 적용할 수 있는 백신 개발 파트너를 찾고, 다양한 질병 개선에 대한 미충족 수요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퍼스트 인 클래스 신약인 BCR 이디오타입 암 백신 파이프라인을 연내 임상단계로 올려놓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