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가 의약품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에서 시작된 돌풍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비만치료제 시장이 매우 거대해 후발 주자에게도 성공 가능성이 있어 개발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 혁신기업분석팀 이지현 연구원은 26일 “최근 GLP-1 등장으로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을 넘어, 전 세계적인 메가트렌드가 시작됐다”면서 “비만치료제 시장은 역사상 가장 빠르게 1000억 달러(130조5000억원) 규모를 돌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GLP-1 기반 비만치료제와 함께,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진 치료제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이는 치료제 영역을 넘어 CMO(위탁생산), 주사기, 디지털헬스, 의약품 유통에까지 파급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지난 24일 서울 동대문구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호텔에서 열린 '7th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nnovation of Cell & Bio Therapy(세포 및 바이오 치료의 의료 혁신 국제 포럼)'에 연자로 참석해, 새로운 비만치료제 시장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 포럼은 미래의학연구재단(설립자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이사장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 'Open Innovation for Advanced Biomedical Science(첨단 바이오의료 과학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를 주제로 진행했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자료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3년부터 2032까지 연평균성장률 30.2%로 고속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비만 환자 수가 1억명 이상인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큰 성장이 예측됐다.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들이 미국에 탄탄한 영업망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고, 특히 높은 약가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20년 동안 미국 내 비만 환자는 72% 증가했다. 이는 연평균 인구증가율보다 2.4배 빠른 속도며, 비만으로 인한 의료 비용이 연간 1730억 달러(225조9380억원) 규모가 소요되고 있다. 미국에 이어 호주도 전체 인구 중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67%를 넘었고, 영국 64%, 유럽 53% 순이다. 중국과 한국은 각각 50%, 38%다. 중국과 한국의 BMI 기준은 서구권보단 엄격하지만,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비만치료제는 전례 없던 폭발적인 수요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원은 “노보노디스크 ‘위고비’는 출시 4개월 만에 6년 이상 판매돼온 비만치료제 ‘삭세다’ 처방 수를 넘어섰다”면서 “CMO 이슈 및 공급 부족으로 한때 하락했던 처방 수가 지난 1월 새롭게 CMO 생산이 시작되면서 월 처방 수 60만건을 돌파했다”고 전했다.
유사 기전의 당뇨병 치료제들도 오프라벨로 처방되며, 처방 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는 월 처방 수 50 건을 5개월 만에 달성했다. 일라이 릴리는 지난 8일 마운자로의 비만치료용 ‘젭바운드’를 FDA로부터 승인받았다. 이 밖에 화이자, 암젠, 베링거인겔하임·질랜드파마 등 글로벌 빅파마에서 비만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시장 경쟁은 심화할 전망이다.
그러나 후발주자에게도 기회는 충분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비만치료제 시장이 기존 일반적인 치료제 시장을 뛰어넘는 거대 시장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노보노디스크, 일라이 릴리가 비만치료제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후발주자도 15%까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 연구원은 “경구용 비만치료제가 출시되면 시장 점유율 30% 확보가 예측돼, 비만치료제 시장에 다시 한번 지각변동이 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상적으로 경구제제가 주사제보다 높은 사용 편의성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이 밖에도 비만치료제는 의약품 산업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F&B 산업 전반에 큰 파문을 가져올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비만치료제 수요에 따라 CMO, 주사기, 의약품 유통, 디지털헬스케어 분야는 수혜가 전망된다”면서 “특히 GLP-1 비만치료제는 사람들의 음식료 섭취 패턴까지 바꿀 가능성이 높아, 식음료 등 F&B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라이프시맨틱스,우주항공소재 개발 '스피어코리아' 합병 추진 |
2 | 현대바이오,뎅기열·뎅기열 유사질환 베트남 'CP-COV03' 임상 연구신청서 제출 |
3 | 리가켐바이오, 'LNCB74' 고형암 치료제 미국 FDA 임상1상 승인 |
4 | [이시간 투표율] 11일 정오, 대한약사회장 선거 투표율 60% 돌파 |
5 | 지아이이노베이션,고형암 대상 'GI-108' 제1/2a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
6 | 인트론바이오, 연쇄상구균 원인 젖소유방염 치료제 약효물질 특허등록 |
7 | 한국콜마, 美 타임지 ‘세계 최고 지속가능 성장기업’에 선정 |
8 | 바임글로벌, ‘쥬베룩 볼륨’ 주요 성분 노화 피부 지방 조직 재생 효과 입증 |
9 | 압타바이오, 당뇨병성 신장질환 임상2b상 IND 승인 |
10 | 한미약품, 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 공개..."박 대표 체제 흔들림 없어야"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비만치료제가 의약품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에서 시작된 돌풍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비만치료제 시장이 매우 거대해 후발 주자에게도 성공 가능성이 있어 개발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 혁신기업분석팀 이지현 연구원은 26일 “최근 GLP-1 등장으로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을 넘어, 전 세계적인 메가트렌드가 시작됐다”면서 “비만치료제 시장은 역사상 가장 빠르게 1000억 달러(130조5000억원) 규모를 돌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GLP-1 기반 비만치료제와 함께,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진 치료제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이는 치료제 영역을 넘어 CMO(위탁생산), 주사기, 디지털헬스, 의약품 유통에까지 파급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지난 24일 서울 동대문구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호텔에서 열린 '7th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nnovation of Cell & Bio Therapy(세포 및 바이오 치료의 의료 혁신 국제 포럼)'에 연자로 참석해, 새로운 비만치료제 시장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 포럼은 미래의학연구재단(설립자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이사장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 'Open Innovation for Advanced Biomedical Science(첨단 바이오의료 과학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를 주제로 진행했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자료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시장은 2023년부터 2032까지 연평균성장률 30.2%로 고속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비만 환자 수가 1억명 이상인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큰 성장이 예측됐다.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들이 미국에 탄탄한 영업망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고, 특히 높은 약가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20년 동안 미국 내 비만 환자는 72% 증가했다. 이는 연평균 인구증가율보다 2.4배 빠른 속도며, 비만으로 인한 의료 비용이 연간 1730억 달러(225조9380억원) 규모가 소요되고 있다. 미국에 이어 호주도 전체 인구 중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67%를 넘었고, 영국 64%, 유럽 53% 순이다. 중국과 한국은 각각 50%, 38%다. 중국과 한국의 BMI 기준은 서구권보단 엄격하지만,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비만치료제는 전례 없던 폭발적인 수요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원은 “노보노디스크 ‘위고비’는 출시 4개월 만에 6년 이상 판매돼온 비만치료제 ‘삭세다’ 처방 수를 넘어섰다”면서 “CMO 이슈 및 공급 부족으로 한때 하락했던 처방 수가 지난 1월 새롭게 CMO 생산이 시작되면서 월 처방 수 60만건을 돌파했다”고 전했다.
유사 기전의 당뇨병 치료제들도 오프라벨로 처방되며, 처방 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는 월 처방 수 50 건을 5개월 만에 달성했다. 일라이 릴리는 지난 8일 마운자로의 비만치료용 ‘젭바운드’를 FDA로부터 승인받았다. 이 밖에 화이자, 암젠, 베링거인겔하임·질랜드파마 등 글로벌 빅파마에서 비만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시장 경쟁은 심화할 전망이다.
그러나 후발주자에게도 기회는 충분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비만치료제 시장이 기존 일반적인 치료제 시장을 뛰어넘는 거대 시장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노보노디스크, 일라이 릴리가 비만치료제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후발주자도 15%까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 연구원은 “경구용 비만치료제가 출시되면 시장 점유율 30% 확보가 예측돼, 비만치료제 시장에 다시 한번 지각변동이 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상적으로 경구제제가 주사제보다 높은 사용 편의성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이 밖에도 비만치료제는 의약품 산업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F&B 산업 전반에 큰 파문을 가져올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비만치료제 수요에 따라 CMO, 주사기, 의약품 유통, 디지털헬스케어 분야는 수혜가 전망된다”면서 “특히 GLP-1 비만치료제는 사람들의 음식료 섭취 패턴까지 바꿀 가능성이 높아, 식음료 등 F&B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