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업무협약은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장비·기술 및 전문인력 교류, 해당 분야 핵심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재단 실험동물센터는 비임상 평가 핵심연구시설로 글로벌 수준 종합적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합성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맞춤형 동물실험지원시스템을 활발히 제공하고 있다. 또 2016년 우수동물실험시설(KELAF) 인증을 받았고, 국제실험동물협회(ICLAS) 품질관리프로그램(PEP)에 국내 최초 참여·동물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품질검정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받았.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AALAC)로부터 실험동물 인프라 전 부문 인증 획득을 추진 중이다.
경북대 첨단기술원은 대구첨복단지에서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를 운영 중이다.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 구축사업은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것으로 1공장 1사업자 의료기기 제조 규제를 극복하고 3D프린팅 기반 정형 임플란트 의료기기 제조 프로세스 혁신 및 1공장 다(多)사업자가 제조 가능한 쉐어링 팩토리를 제시할 계획이다. 애니메디솔루션 등 역외기업 9개를 비롯한 12개 기업이 공동제조소에 참여해 2021년 1월부터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차세대 기술 기반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공동 연구개발 ▲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전문 연구 인력의 교류 ▲연구 기술 및 정보 교환 ▲R&D 과제 및 기술서비스 수행 등의 내용으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김길수 센터장은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비임상 평가를 위해 실험동물센터 보유 동물모델과 평가기법을 연계해 더욱 활발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대 첨단기술원 김현덕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첨단기술원을 포함해 공동제조소 참여기업 12개사 의료기기 제품화에 실험동물센터 협력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2년 FDA 승인 받은 신약 적지만 '잠재력' 높다 |
2 | 개별인정형 건기식 ‘헤모힘 당귀등 혼합추출물’ 톱 |
3 | "글로벌 제약바이오 빙하기? 'M&A 불씨' 살아있어" |
4 | 코로나19로 사망한 소아‧청소년 44명…9세 이하 66% |
5 | 카나리아바이오, 무상증자 신주배정기준일 연기 |
6 | 휴메딕스, 상반기 매출 586억…전년비 8.1%↑ |
7 | 한·중 제약바이오협회,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
8 | “상병수당, 특수고용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 소외돼선 안돼” |
9 | 美 피부과학회, 광선 각화증 ‘클리시리’ 강력권고 |
10 | 에스디바이오센서, 1,483억 원 규모 日 정부 공급계약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이번 업무협약은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장비·기술 및 전문인력 교류, 해당 분야 핵심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재단 실험동물센터는 비임상 평가 핵심연구시설로 글로벌 수준 종합적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합성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맞춤형 동물실험지원시스템을 활발히 제공하고 있다. 또 2016년 우수동물실험시설(KELAF) 인증을 받았고, 국제실험동물협회(ICLAS) 품질관리프로그램(PEP)에 국내 최초 참여·동물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품질검정에 대한 공신력을 인정받았.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AALAC)로부터 실험동물 인프라 전 부문 인증 획득을 추진 중이다.
경북대 첨단기술원은 대구첨복단지에서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를 운영 중이다. 첨단 의료기기 공동제조소 구축사업은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것으로 1공장 1사업자 의료기기 제조 규제를 극복하고 3D프린팅 기반 정형 임플란트 의료기기 제조 프로세스 혁신 및 1공장 다(多)사업자가 제조 가능한 쉐어링 팩토리를 제시할 계획이다. 애니메디솔루션 등 역외기업 9개를 비롯한 12개 기업이 공동제조소에 참여해 2021년 1월부터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차세대 기술 기반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공동 연구개발 ▲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전문 연구 인력의 교류 ▲연구 기술 및 정보 교환 ▲R&D 과제 및 기술서비스 수행 등의 내용으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김길수 센터장은 “인체 및 동물용 의료기기 비임상 평가를 위해 실험동물센터 보유 동물모델과 평가기법을 연계해 더욱 활발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대 첨단기술원 김현덕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첨단기술원을 포함해 공동제조소 참여기업 12개사 의료기기 제품화에 실험동물센터 협력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