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코스피 상장 제약사들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코스닥 상장 제약사보다 2% 이상 높았다. 증감률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전년동기와 비슷했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4개 제약사의 상반기 연구개발비를 분석한 결과,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코스피 제약사가 9.9%(전년동기 '유지')로 10%에 육박했고, 코스닥 제약사는 7.4%(전년동기대비 0.7% P증가)를 기록했다.
연구개발비가 가장 많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휴젤, 전년동기대비 연구개발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이연제약 코스닥은 한국유니온제약,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대웅제약 코스닥은 이수앱지스, 전년동기대비 증감 P가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대웅제약 코스닥은 이수앱지스로 각각 나타났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이연제약이 유일하게 100%를 넘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80%, JW생명과학이 60%, 일양약품이 50%, 하나제약이 40%(46.4%)를 넘었다(평균 11.7%)
매출비 비중은 대웅제약 한미약품이 19%, 셀트리온이 17%, 부광약품 일양약품 일동제약이 1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삼진제약 동아에스티 유한양행이 11%를 넘었다(평균 9.9%)
전년동기대비 증감P는 대웅제약이 6.3% P로 가장 높았고, 영진약품이 2.0%P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0.0% P)
제약사별(전년비)=셀트리온은 234억 증가(자산인식 96억 증가, 비용인식 138억 증가), 대웅제약은 264억 증가(자산인식 238억 증가, 비용인식 26억 증가), 유한양행은 111억 증가(자산인식 19억 증가, 비용인식 92억 증가), 일동제약은 89억 증가(자산인식 9억 증가, 비용인식 80억 증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6억 증가(비용인식 146억 증가)했다.
또 이연제약은 18억 증가(비용인식 18억 증가), JW생명과학은 16억 증가(비용인식 16억 증가), 일양약품은 66억 증가(자산인식 43억 증가, 비용인식 23억 증가). 하나제약은 13억 증가(비용인식 13억 증가), 영진약품은 20억 증가(비용인식 20억 증가)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한국유니온제약이 88.6%로 가장 높았고, CMG제약(48.3%) 동구바이오제약(48%)이 '톱5'에 들었다(평균 18.5%)
매출비 비중은 이수앱지스가 96.6%로 상장 제약사 중 가장 높았고 엔지켐생명과학 메디톡스 휴젤이 20%를 넘었다. 비씨월드제약(16.5%, 5위),대화제약(9.7%, 10위)가 '톱10'에 들었다(평균 7.4%)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이수앱지스가 35.0%P로 가장 높았고, 대화제약이 2.8%P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0.7%P)
제약사별(전년비)=휴젤은 54억 증가(자산인식 28억 증가, 비용인식 26억 증가), 메디톡스는 21억 증가(자산인식 7억 감소, 비용인식 28억 증가), 이수앱지스는 38억 증가(자산인식 25억 증가, 비용인식 14억 증가), 삼천당제약은 41억 증가(자산인식 2억 감소, 비용인식 43억 증가), 안국약품은 25억 증가(비용인식 25억 증가)했다.
또 에스티팜은 17억 증가(비용인식 17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21억 증가(비용인식 21억 증가), 한국유니온제약은 3억 증가(비용인식 3억 증가), CMG제약은 10억 증가(자산인식 8억 증가, 비용인식 2억 증가), 대화제약은 13억 증가(자산인식 13억 증가)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5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6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7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8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9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10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법인 최고사업책임자 화이자 출신 '토마스 누스비켈'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 상반기 코스피 상장 제약사들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코스닥 상장 제약사보다 2% 이상 높았다. 증감률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전년동기와 비슷했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4개 제약사의 상반기 연구개발비를 분석한 결과,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코스피 제약사가 9.9%(전년동기 '유지')로 10%에 육박했고, 코스닥 제약사는 7.4%(전년동기대비 0.7% P증가)를 기록했다.
연구개발비가 가장 많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휴젤, 전년동기대비 연구개발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이연제약 코스닥은 한국유니온제약, 매출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대웅제약 코스닥은 이수앱지스, 전년동기대비 증감 P가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대웅제약 코스닥은 이수앱지스로 각각 나타났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이연제약이 유일하게 100%를 넘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80%, JW생명과학이 60%, 일양약품이 50%, 하나제약이 40%(46.4%)를 넘었다(평균 11.7%)
매출비 비중은 대웅제약 한미약품이 19%, 셀트리온이 17%, 부광약품 일양약품 일동제약이 1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삼진제약 동아에스티 유한양행이 11%를 넘었다(평균 9.9%)
전년동기대비 증감P는 대웅제약이 6.3% P로 가장 높았고, 영진약품이 2.0%P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0.0% P)
제약사별(전년비)=셀트리온은 234억 증가(자산인식 96억 증가, 비용인식 138억 증가), 대웅제약은 264억 증가(자산인식 238억 증가, 비용인식 26억 증가), 유한양행은 111억 증가(자산인식 19억 증가, 비용인식 92억 증가), 일동제약은 89억 증가(자산인식 9억 증가, 비용인식 80억 증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6억 증가(비용인식 146억 증가)했다.
또 이연제약은 18억 증가(비용인식 18억 증가), JW생명과학은 16억 증가(비용인식 16억 증가), 일양약품은 66억 증가(자산인식 43억 증가, 비용인식 23억 증가). 하나제약은 13억 증가(비용인식 13억 증가), 영진약품은 20억 증가(비용인식 20억 증가)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한국유니온제약이 88.6%로 가장 높았고, CMG제약(48.3%) 동구바이오제약(48%)이 '톱5'에 들었다(평균 18.5%)
매출비 비중은 이수앱지스가 96.6%로 상장 제약사 중 가장 높았고 엔지켐생명과학 메디톡스 휴젤이 20%를 넘었다. 비씨월드제약(16.5%, 5위),대화제약(9.7%, 10위)가 '톱10'에 들었다(평균 7.4%)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이수앱지스가 35.0%P로 가장 높았고, 대화제약이 2.8%P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0.7%P)
제약사별(전년비)=휴젤은 54억 증가(자산인식 28억 증가, 비용인식 26억 증가), 메디톡스는 21억 증가(자산인식 7억 감소, 비용인식 28억 증가), 이수앱지스는 38억 증가(자산인식 25억 증가, 비용인식 14억 증가), 삼천당제약은 41억 증가(자산인식 2억 감소, 비용인식 43억 증가), 안국약품은 25억 증가(비용인식 25억 증가)했다.
또 에스티팜은 17억 증가(비용인식 17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21억 증가(비용인식 21억 증가), 한국유니온제약은 3억 증가(비용인식 3억 증가), CMG제약은 10억 증가(자산인식 8억 증가, 비용인식 2억 증가), 대화제약은 13억 증가(자산인식 13억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