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 HL161(성분명Batoclimab)의 글로벌 파트너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25일(현지시간) HL161의 중증근무력증 임상2상 시험에 대한 보도자료와콘퍼런스콜을 통해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 시험은 총 15명의 중증근무력증 환자로 구성됐고, 3그룹(340mg: 5명, 680mg: 5명, 위약: 5명)으로 나뉘어 HL161(이뮤노반트 코드명 IMVT-1401)을 주1회씩 6주간 피하주사 후 약의 효능, 안전성, 내약성, 약력학을 측정했다.
임상시험 결과, 환자가 느끼는 증상 개선효과를 평가하는 MG-ADL 지표에서 평균 3.8 포인트 개선돼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가 확인됐으며(p=0.029), 환자의 증상과 의사의 측정 수치를 조합해 평가하는 MGC 지표에서도 평균 8 포인트 개선되어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확인됐다(p=0.006).
특히 증상개선 비율을 확인하는 MG-ADL 반응률(MG-ADL 수치가 2점 이상 개선된 환자 비율)에서 투약군은 60%로 위약군의 20%에 비하여 3배 이상차이를 나타냈다.
지난 HL161 임상1상 결과와 일관되게 뛰어난 안전성과 내약성을 보였고, 심각한 이상반응 및 이상반응으로 인한 임상 이탈 환자도 없었다.
이뮤노반트의Pete Salzmann 대표는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HL161(IMVT-1401)이 Anti-FcRn 계열 신약 중에서 중증근무력증 환자들을 위한 최고 의약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HL161은내원이 필요한 정맥주사와 달리 환자 스스로 투약 가능한 피하주사라는 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올해 FDA와 신약허가에 대비한 중증근무력증 임상3상 시험 디자인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K이노엔, 상반기 매출 4,321억…전년비 16.2%↑ |
2 | 2022년 FDA 승인 받은 신약 적지만 '잠재력' 높다 |
3 | 개별인정형 건기식 ‘헤모힘 당귀등 혼합추출물’ 톱 |
4 | "글로벌 제약바이오 빙하기? 'M&A 불씨' 살아있어" |
5 | 코로나19로 사망한 소아‧청소년 44명…9세 이하 66% |
6 | 카나리아바이오, 무상증자 신주배정기준일 연기 |
7 | 휴메딕스, 상반기 매출 586억…전년비 8.1%↑ |
8 | 한·중 제약바이오협회,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
9 | “상병수당, 특수고용직 등 비정규직 근로자 소외돼선 안돼” |
10 | 美 피부과학회, 광선 각화증 ‘클리시리’ 강력권고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올바이오파마 HL161(성분명Batoclimab)의 글로벌 파트너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25일(현지시간) HL161의 중증근무력증 임상2상 시험에 대한 보도자료와콘퍼런스콜을 통해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 시험은 총 15명의 중증근무력증 환자로 구성됐고, 3그룹(340mg: 5명, 680mg: 5명, 위약: 5명)으로 나뉘어 HL161(이뮤노반트 코드명 IMVT-1401)을 주1회씩 6주간 피하주사 후 약의 효능, 안전성, 내약성, 약력학을 측정했다.
임상시험 결과, 환자가 느끼는 증상 개선효과를 평가하는 MG-ADL 지표에서 평균 3.8 포인트 개선돼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가 확인됐으며(p=0.029), 환자의 증상과 의사의 측정 수치를 조합해 평가하는 MGC 지표에서도 평균 8 포인트 개선되어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확인됐다(p=0.006).
특히 증상개선 비율을 확인하는 MG-ADL 반응률(MG-ADL 수치가 2점 이상 개선된 환자 비율)에서 투약군은 60%로 위약군의 20%에 비하여 3배 이상차이를 나타냈다.
지난 HL161 임상1상 결과와 일관되게 뛰어난 안전성과 내약성을 보였고, 심각한 이상반응 및 이상반응으로 인한 임상 이탈 환자도 없었다.
이뮤노반트의Pete Salzmann 대표는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HL161(IMVT-1401)이 Anti-FcRn 계열 신약 중에서 중증근무력증 환자들을 위한 최고 의약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HL161은내원이 필요한 정맥주사와 달리 환자 스스로 투약 가능한 피하주사라는 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올해 FDA와 신약허가에 대비한 중증근무력증 임상3상 시험 디자인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