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코스피상장 제약사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순이익 증가율이 100%를 넘었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상반기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4개 제약사 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제약사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순익 증가율이 116.6%로 코스닥 제약( 23.1%)보다 5배 이상 높았다.
순이익률은 코스피 제약이 8.5%로 코스닥 제약(5.7%)보다 3% 가까이 높았고, 평균 순이익은 코스피 제약이 192억으로 코스닥 제약 35억보다 6배 가까이 많았다.
순이익이 가장 많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동국제약, 매출비 순이익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에이프로젠제약 코스닥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삼진제약 코스닥은 고려제약으로 각각 나타났다.
매출비 순익은 에이프로젠제약이 40% 셀트리온이 30% 파미셀이 20%를 넘었다. JW생명과학이 16.6%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7.5%)
전기(1분기)비 증감률은 이연제약이 11531.4%로 가장 높았고 현대약품이 1925.7% 증가했다. 동화약품 경보제약(129.1%)이 '톱5'에 들었다(평균 -17.1%)
2분기 전기대비 동성제약 한독 부광약품 GC녹십자 일동제약 우리들제약 등 6곳은 '흑자전환', 삼성제약 명문제약 JW중외제약 등 3곳은 '적자지속', 동아에스티 유유제약 대웅제약 등 3곳은 '적자전환'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유한양행이 500% 에이프로젠제약이 200%를 넘었다. 종근당(124.4%)이 '톱5'에 합류했다.
누적=순익은 센트리온이 2천억, 유한양행이 1천억을 넘었다. 2분기 순익 '톱5'중 GC녹십자가 빠지고 동아에스티(375억, 5위)가 합류했다. 동아에스티는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평균 192억)
매출비 순이익은 에이프로젠제약이 40%(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를 넘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17.2%, 5위)는 '흑자전환'했다(평균 8.5%)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삼진제약이 5069.3%로 가장 높았고 동화약품 유한양행이 600%를 넘었다. 제일약품(173.0%)과 종근당(96.6%)이 '톱5'에 들었다(평균 116.6%)
제약사별 2분기(전기비)=이연제약은 14억 증가(영업익 10억 증가),현대약품은 28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파미셀은 21억 증가(영업익 31억 증가), 동화약품은 45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법인세 7억 감소), 경보제약은 26억 증가(영업익 27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2분기(전년비)=유한양행은 286억 증가(영업익 411억 증가, 법인세 84억 증가), 에이프로젠제약은 43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40억 증가), 파미셀은 18억 증가(영업익 30억 증가, 법인세 7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9억 증가(영업익 8억 증가), 종근당은 155억 증가(영업익 181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누적(전년비)=삼진제약은 162억 증가(추징금 221억 감소), 동화약품은 78억 증가(영업익 75억 증가), 유한양행은 1283억 증가(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1328억 증가), 제일약품은 39억 증가(영업익 32억 증가), 종근당은 222억 증가(영업익 281억 증가)했다.
매출비 순익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에스텍파마 휴젤이 30%, 고려제약이 20%를 넘었다. 휴메딕스(19.5%)가 '톱5'에 들었다(평균 6.5%)
전기(1분기) 비 증감률은 고려제약이 500%, 동구바이오제약 휴메딕스 바이넥스가 200%를 넘었고, 진양제약(161.8%)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46.8%)
전기비 JW신약 조아제약 에스티팜 등 3곳은 '흑자전환', 이수앱지스 엔지켐생명과학 한국유니온제약 테라젠이텍스 메디톡스 코오롱생명과학 서울제약 등 7곳은 '적자지속', 안국약품 신신제약 대화제약 삼아제약 등 4곳은 '적자전환'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동구바이오제약이 3천%,조아제약이 500%를 넘었다(평균 41.6%)
누적=순익은 2분기 순익 '톱5'중 1,2위 순위(동국제약 312억, 휴젤 218억)가 바뀌고 바이넥스(5위) 대신 대한약품(5위)이 '톱5'에 들었다. (평균 35억)
매출비 순익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휴젤 에스텍파마 20%를 넘었고, 신일제약(14.8%, 4위)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5.7%)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고려제약이 300%로 가장 높앗고,CMG제약(26.4%)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23.1%)
제약사별 2분기(전기비)=고려제약은 30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30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40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7억 증가, 영업익 16억 증가), 휴메딕스는 31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7억 증가, 영업익 7억 증가), 바이넥스는 41억 증가(영업익 36억 증가), 진양제약은 5억 증가(영업익 6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2분기(전년비)=동구바이오제약은 53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지분법투자손익 12억 증가), 조아제약은 5억 증가(기타손익 14억 증가, 세부내역 미공시),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65억 증가(관세환급금 47억 증가), 바이넥스는 27억 증가(영업익 16억 증가, 법인세 8억 감소), 휴메딕스는 15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1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누적(전년비)=고려제약은 33억 증가(영업익 39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45억 증가(영업익 30억 증가, 지분법투자손익 13억 증가),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63억 증가(관세환급금 47억 증가), 바이넥스는 30억 증가(영업익 17억 증가, 법인세 13억 감소), CMG제약은 4억 증가(법인세 8억 감소)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5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6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7 | 제넨바이오, '이종췌도이식' 국내 임상 상반기 착수 |
8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9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10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 상반기 코스피상장 제약사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순이익 증가율이 100%를 넘었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상반기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4개 제약사 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제약사의 전년동기대비 평균 순익 증가율이 116.6%로 코스닥 제약( 23.1%)보다 5배 이상 높았다.
순이익률은 코스피 제약이 8.5%로 코스닥 제약(5.7%)보다 3% 가까이 높았고, 평균 순이익은 코스피 제약이 192억으로 코스닥 제약 35억보다 6배 가까이 많았다.
순이익이 가장 많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동국제약, 매출비 순이익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에이프로젠제약 코스닥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삼진제약 코스닥은 고려제약으로 각각 나타났다.
매출비 순익은 에이프로젠제약이 40% 셀트리온이 30% 파미셀이 20%를 넘었다. JW생명과학이 16.6%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7.5%)
전기(1분기)비 증감률은 이연제약이 11531.4%로 가장 높았고 현대약품이 1925.7% 증가했다. 동화약품 경보제약(129.1%)이 '톱5'에 들었다(평균 -17.1%)
2분기 전기대비 동성제약 한독 부광약품 GC녹십자 일동제약 우리들제약 등 6곳은 '흑자전환', 삼성제약 명문제약 JW중외제약 등 3곳은 '적자지속', 동아에스티 유유제약 대웅제약 등 3곳은 '적자전환'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유한양행이 500% 에이프로젠제약이 200%를 넘었다. 종근당(124.4%)이 '톱5'에 합류했다.
누적=순익은 센트리온이 2천억, 유한양행이 1천억을 넘었다. 2분기 순익 '톱5'중 GC녹십자가 빠지고 동아에스티(375억, 5위)가 합류했다. 동아에스티는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평균 192억)
매출비 순이익은 에이프로젠제약이 40%(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를 넘었고 삼성바이오로직스(17.2%, 5위)는 '흑자전환'했다(평균 8.5%)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삼진제약이 5069.3%로 가장 높았고 동화약품 유한양행이 600%를 넘었다. 제일약품(173.0%)과 종근당(96.6%)이 '톱5'에 들었다(평균 116.6%)
제약사별 2분기(전기비)=이연제약은 14억 증가(영업익 10억 증가),현대약품은 28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파미셀은 21억 증가(영업익 31억 증가), 동화약품은 45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법인세 7억 감소), 경보제약은 26억 증가(영업익 27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2분기(전년비)=유한양행은 286억 증가(영업익 411억 증가, 법인세 84억 증가), 에이프로젠제약은 43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40억 증가), 파미셀은 18억 증가(영업익 30억 증가, 법인세 7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9억 증가(영업익 8억 증가), 종근당은 155억 증가(영업익 181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누적(전년비)=삼진제약은 162억 증가(추징금 221억 감소), 동화약품은 78억 증가(영업익 75억 증가), 유한양행은 1283억 증가(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1328억 증가), 제일약품은 39억 증가(영업익 32억 증가), 종근당은 222억 증가(영업익 281억 증가)했다.
매출비 순익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에스텍파마 휴젤이 30%, 고려제약이 20%를 넘었다. 휴메딕스(19.5%)가 '톱5'에 들었다(평균 6.5%)
전기(1분기) 비 증감률은 고려제약이 500%, 동구바이오제약 휴메딕스 바이넥스가 200%를 넘었고, 진양제약(161.8%)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46.8%)
전기비 JW신약 조아제약 에스티팜 등 3곳은 '흑자전환', 이수앱지스 엔지켐생명과학 한국유니온제약 테라젠이텍스 메디톡스 코오롱생명과학 서울제약 등 7곳은 '적자지속', 안국약품 신신제약 대화제약 삼아제약 등 4곳은 '적자전환'했다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동구바이오제약이 3천%,조아제약이 500%를 넘었다(평균 41.6%)
누적=순익은 2분기 순익 '톱5'중 1,2위 순위(동국제약 312억, 휴젤 218억)가 바뀌고 바이넥스(5위) 대신 대한약품(5위)이 '톱5'에 들었다. (평균 35억)
매출비 순익은 파마리서치프로덕트 휴젤 에스텍파마 20%를 넘었고, 신일제약(14.8%, 4위)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5.7%)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은 고려제약이 300%로 가장 높앗고,CMG제약(26.4%)이 '톱5'에 합류했다(평균 23.1%)
제약사별 2분기(전기비)=고려제약은 30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30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40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7억 증가, 영업익 16억 증가), 휴메딕스는 31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7억 증가, 영업익 7억 증가), 바이넥스는 41억 증가(영업익 36억 증가), 진양제약은 5억 증가(영업익 6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2분기(전년비)=동구바이오제약은 53억 증가(영업익 35억 증가, 지분법투자손익 12억 증가), 조아제약은 5억 증가(기타손익 14억 증가, 세부내역 미공시),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65억 증가(관세환급금 47억 증가), 바이넥스는 27억 증가(영업익 16억 증가, 법인세 8억 감소), 휴메딕스는 15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1억 증가)했다.
제약사별 누적(전년비)=고려제약은 33억 증가(영업익 39억 증가), 동구바이오제약은 45억 증가(영업익 30억 증가, 지분법투자손익 13억 증가),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63억 증가(관세환급금 47억 증가), 바이넥스는 30억 증가(영업익 17억 증가, 법인세 13억 감소), CMG제약은 4억 증가(법인세 8억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