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대표이사 이태화)은 27일, ‘HLA(human leukocyte antigen, 사람백혈구항원) class Ⅰ 유전자가 제거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제작’에 대한 논문을 줄기세포 연구관련 국제 저널 ‘Stem Cell Reviews and Reports(줄기세포 연구리뷰와 보고)’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생체 내에서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유전자 ‘HLA class Ⅰ 그룹(HLA-A, HLA-B, HLA-C)’에 대해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iPSC(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동시에 절반씩 제거하고, 이를 통해 HLA class Ⅰ KO(Knock-out) iPSC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UCB-MSC(제대혈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배지를 활용하여 HLA class Ⅰ KO iPSC로부터 MSC로 분화시키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립했고, 분화된 HLA class Ⅰ KO MSC가 MSC 고유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세포치료제 연구개발에 있어 안전성이 검증된 세포로,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 시 이 기술을 접목하게 되면, 기존 세포치료제 대비 표준화된 고효율의 동종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승희 연구소장은 “개발한 기술을 통해 1종의 세포로도 HLA가 일치한 다수의 환자에게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세포를 이식할 수 있고, 조직 수급에 대한 리스크 해소가 가능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종의 세포로 모든 사람에게 면역거부반응 없이 이식 가능한 universal CAR-T(항암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5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6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7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8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9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10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법인 최고사업책임자 화이자 출신 '토마스 누스비켈'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강스템바이오텍(대표이사 이태화)은 27일, ‘HLA(human leukocyte antigen, 사람백혈구항원) class Ⅰ 유전자가 제거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제작’에 대한 논문을 줄기세포 연구관련 국제 저널 ‘Stem Cell Reviews and Reports(줄기세포 연구리뷰와 보고)’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생체 내에서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유전자 ‘HLA class Ⅰ 그룹(HLA-A, HLA-B, HLA-C)’에 대해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iPSC(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동시에 절반씩 제거하고, 이를 통해 HLA class Ⅰ KO(Knock-out) iPSC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UCB-MSC(제대혈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배지를 활용하여 HLA class Ⅰ KO iPSC로부터 MSC로 분화시키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립했고, 분화된 HLA class Ⅰ KO MSC가 MSC 고유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세포치료제 연구개발에 있어 안전성이 검증된 세포로,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 시 이 기술을 접목하게 되면, 기존 세포치료제 대비 표준화된 고효율의 동종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승희 연구소장은 “개발한 기술을 통해 1종의 세포로도 HLA가 일치한 다수의 환자에게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세포를 이식할 수 있고, 조직 수급에 대한 리스크 해소가 가능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종의 세포로 모든 사람에게 면역거부반응 없이 이식 가능한 universal CAR-T(항암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