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원셀론텍(공동대표이사 장정호·유승주)은 바이오콜라겐 제형화 기술에 대해 브라질 특허등록을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액상 콜라겐에 방사선을 조사(광선을 쬠)하여 콜라겐 가교물질(방사선 가교화(Crosslinking)된 콜라겐 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화학적 방법이 아닌, 인체에 안전한 물리적 가교방법을 이용해 제형화된 콜라겐 겔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 제조방법으로 가교화돼 하이드로겔화된 콜라겐은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물성(점탄성, 인장강도, 분해성 등)을 갖춰, 제품화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생체적합물질을 혼합해 콜라겐을 제형화할 수 있어, 재생의료제품(상처 및 화상치료용 창상피복재, 피부·뼈·각막 등 인체조직 이식재, 세포배양용 지지체 등) 및 화장품(마스크팩 등) 재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서동삼 세원셀론텍 재생의료시스템혁신센터장은 “국내외 시장에 공급 중인 10가지 ‘리젠그라프트’와 바이오화장품 ‘새라제나’ 제품군의 개발·제조·성능향상에 이용되는 기반기술로, 기술적∙산업적 활용도 및 가치가 높다”며 “미국 FDA 원료의약품집(DMF) 및 미국화장품협회(PCPC) 화장품원료집(ICID) 등재 등을 발판으로 이미 상용화된 바이오콜라겐이 인공각막 조직보충재 세포배양지지체 미용∙성형필러 개발원료로 수출되는 성과를 이끈 원천기술 중 하나”라고 밝혔다.
세원셀론텍(공동대표이사 장정호·유승주)은 바이오콜라겐 제형화 기술에 대해 브라질 특허등록을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액상 콜라겐에 방사선을 조사(광선을 쬠)하여 콜라겐 가교물질(방사선 가교화(Crosslinking)된 콜라겐 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화학적 방법이 아닌, 인체에 안전한 물리적 가교방법을 이용해 제형화된 콜라겐 겔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 제조방법으로 가교화돼 하이드로겔화된 콜라겐은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물성(점탄성, 인장강도, 분해성 등)을 갖춰, 제품화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생체적합물질을 혼합해 콜라겐을 제형화할 수 있어, 재생의료제품(상처 및 화상치료용 창상피복재, 피부·뼈·각막 등 인체조직 이식재, 세포배양용 지지체 등) 및 화장품(마스크팩 등) 재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서동삼 세원셀론텍 재생의료시스템혁신센터장은 “국내외 시장에 공급 중인 10가지 ‘리젠그라프트’와 바이오화장품 ‘새라제나’ 제품군의 개발·제조·성능향상에 이용되는 기반기술로, 기술적∙산업적 활용도 및 가치가 높다”며 “미국 FDA 원료의약품집(DMF) 및 미국화장품협회(PCPC) 화장품원료집(ICID) 등재 등을 발판으로 이미 상용화된 바이오콜라겐이 인공각막 조직보충재 세포배양지지체 미용∙성형필러 개발원료로 수출되는 성과를 이끈 원천기술 중 하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