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대표이사 전병희)과 ㈜유머스트알엔디는 21일 ‘동물모델과 CTC기반 분석을 결합한 고도화된 약물 효능성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싸이토젠은 CTC(순환종양세포)기반 액체생검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다수 제약사를 대상으로 전임상 및 임상시험 과정에서 CTC 기반 액체생검분석을 수행했다.
유머스트알엔디는 다수 전임상 관련 연구를 통해 우수한 동물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양 유발 동물 모델에서 바이오 이미징 장비를 통해 종양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싸이토젠에 따르면 양사는, 싸이토젠의 CTC기반 분석 기술과 유머스트알엔디의 동물모델 및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함께 적용, 제약회사들에 필요한 우수한 약물효능성 평가 모델을 제공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조직생검이 어려운 췌장암을 시작으로 약물 효능성 평가모델을 통해 전임상연구시장에 진출한다.
수술을 통해 췌장암을 제거한 이후에는 약물의 타깃이 되는 바이오마커나 항암치료 동안에 암의 상태를 추적 관찰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췌장암과 같은 암종에서 액체생검은 환자 상태와 치료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약물효능평가 동물 모델을 구축 시에는 면역이 결핍된 동물의 피부에 사람의 암세포를 이종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유머스트알엔디가 구축한 췌장암 모델은 이와는 다르게 동물의 췌장에 직접 암을 생성시킨 모델로 실제 췌장암의 상태를 가장 잘 반영한 모델이라고 양사는 설명했다.
이러한 동물모델에 싸이토젠의 CTC 기반 액체생검 기술을 더해 전임상 약물효능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이번 협약 핵심이다.
싸이토젠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확장된 비즈니스 모델은 국내 뿐 아니라 싸이토젠이 구축중인 미국의 CLIA Lab에서도 서비스할 계획”이라며 “ 싸이토젠은 이를 발판으로 전임상연구시장은 물론,이를 통해 충분히 검증된 방법으로 이어지는 임상연구시장까지 연계해 목표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FDA 자문위, 제약사 직원 '출입 제한' 조치 파장 |
2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해외매출 및 수출 평균 1428억…전년比 16.4%↑ |
3 | [기고 상]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
4 | 닥터노아바이오텍 "3년 내 신약 성패 결정…AI 복합신약 개발로 시간·비용 반의 반" |
5 | "버리지 말고 살리자" 강남구약, ATC 불용 카트리지 활용안 제시 |
6 | 글로벌 ‘톱 50’ 유통기업..화장품 유통 3곳 동승 |
7 | EU,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화장품에 '안전성' 경고 |
8 | 신라젠, 항암제 'BAL089' 급성 골수성 백혈병 미국 FDA 임상 승인 |
9 | "유사 명칭 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 위해 규정 개선 필요" |
10 | [기업분석] 대봉엘에스, 2024년 매출 940억원…전년比 7.2%↑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대표이사 전병희)과 ㈜유머스트알엔디는 21일 ‘동물모델과 CTC기반 분석을 결합한 고도화된 약물 효능성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싸이토젠은 CTC(순환종양세포)기반 액체생검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다수 제약사를 대상으로 전임상 및 임상시험 과정에서 CTC 기반 액체생검분석을 수행했다.
유머스트알엔디는 다수 전임상 관련 연구를 통해 우수한 동물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양 유발 동물 모델에서 바이오 이미징 장비를 통해 종양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싸이토젠에 따르면 양사는, 싸이토젠의 CTC기반 분석 기술과 유머스트알엔디의 동물모델 및 바이오 이미징 기술을 함께 적용, 제약회사들에 필요한 우수한 약물효능성 평가 모델을 제공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조직생검이 어려운 췌장암을 시작으로 약물 효능성 평가모델을 통해 전임상연구시장에 진출한다.
수술을 통해 췌장암을 제거한 이후에는 약물의 타깃이 되는 바이오마커나 항암치료 동안에 암의 상태를 추적 관찰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췌장암과 같은 암종에서 액체생검은 환자 상태와 치료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약물효능평가 동물 모델을 구축 시에는 면역이 결핍된 동물의 피부에 사람의 암세포를 이종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유머스트알엔디가 구축한 췌장암 모델은 이와는 다르게 동물의 췌장에 직접 암을 생성시킨 모델로 실제 췌장암의 상태를 가장 잘 반영한 모델이라고 양사는 설명했다.
이러한 동물모델에 싸이토젠의 CTC 기반 액체생검 기술을 더해 전임상 약물효능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이번 협약 핵심이다.
싸이토젠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확장된 비즈니스 모델은 국내 뿐 아니라 싸이토젠이 구축중인 미국의 CLIA Lab에서도 서비스할 계획”이라며 “ 싸이토젠은 이를 발판으로 전임상연구시장은 물론,이를 통해 충분히 검증된 방법으로 이어지는 임상연구시장까지 연계해 목표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