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이맥스(박상우 대표이사)는 미국법인 엔케이맥스 아메리카(NKMAX America, Inc.)와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술이전 계약 규모는 총 165억원(1천4백만 달러)이다. 엔케이맥스는 엔케이맥스 아메리카로부터 약 12억 원(1백만 달러)의 계약금과 함께 마일스톤 기술료 153억원(1천3백만 달러)을 국가별 승인에 따라 순차적으로 받게 된다.
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에는 선급금 및 마일스톤 기술료 이외에도 제품화에 따른 고정 로열티 6%와 2차 라이센싱 시점에 따라 별도로 최고 20%에 해당하는 수익 배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엔케이맥스 아메리카는 한국 및 아시아를 제외한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전용실시권을 확보하고 슈퍼NK 연구개발, 특허와 제조 노하우 등에 대한 기술이전을 받게 된다. 단 중국과 일본 시장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상업화는 엔케이맥스가 계속적으로 상업화를 추진한다.
엔케이맥스가 개발한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은 엔케이맥스 고유의 면역세포치료제 기술로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Allogenic(동종세포치료제) 및 CAR-NK 까지 확장 가능한 플랫폼 기술이다. 엔케이맥스는 현재 이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면역항암제 임상1상을 그리고, 한국에서는 임상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엔케이맥스 아메리카 부사장인 폴 송 박사는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은 시장에 보다 빨리 진출할 수 있는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부, 대량화 가능한 Allogenic(동종세포치료제), 그리고 CAR를 개발하고 있는 유수의 글로벌 바이오텍 회사들과 NK세포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 협력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사업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상우 대표이사는 "지속적으로 시장에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반 기술 잠재력을 알리고 차세대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미국법인과 미래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5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6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7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8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9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10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법인 최고사업책임자 화이자 출신 '토마스 누스비켈'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엔케이맥스(박상우 대표이사)는 미국법인 엔케이맥스 아메리카(NKMAX America, Inc.)와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술이전 계약 규모는 총 165억원(1천4백만 달러)이다. 엔케이맥스는 엔케이맥스 아메리카로부터 약 12억 원(1백만 달러)의 계약금과 함께 마일스톤 기술료 153억원(1천3백만 달러)을 국가별 승인에 따라 순차적으로 받게 된다.
엔케이맥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에는 선급금 및 마일스톤 기술료 이외에도 제품화에 따른 고정 로열티 6%와 2차 라이센싱 시점에 따라 별도로 최고 20%에 해당하는 수익 배분을 포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엔케이맥스 아메리카는 한국 및 아시아를 제외한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전용실시권을 확보하고 슈퍼NK 연구개발, 특허와 제조 노하우 등에 대한 기술이전을 받게 된다. 단 중국과 일본 시장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상업화는 엔케이맥스가 계속적으로 상업화를 추진한다.
엔케이맥스가 개발한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은 엔케이맥스 고유의 면역세포치료제 기술로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Allogenic(동종세포치료제) 및 CAR-NK 까지 확장 가능한 플랫폼 기술이다. 엔케이맥스는 현재 이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 면역항암제 임상1상을 그리고, 한국에서는 임상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엔케이맥스 아메리카 부사장인 폴 송 박사는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술은 시장에 보다 빨리 진출할 수 있는 Autologous(자가세포치료제)부, 대량화 가능한 Allogenic(동종세포치료제), 그리고 CAR를 개발하고 있는 유수의 글로벌 바이오텍 회사들과 NK세포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 협력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사업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상우 대표이사는 "지속적으로 시장에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기반 기술 잠재력을 알리고 차세대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미국법인과 미래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