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계약 금액은 6억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 대비 10.3%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0년 2월 12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다.
팬젠 관계자는 “이번 공급 계약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인 팬포틴(EPO)에 대한 공급 계약 건으로 품질 경쟁력이 갖춰진 제품을 중헌제약을 통해 국내에서 판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헌제약은 이번 공급 건 이후로 향후 2년 간 팬젠의 팬포틴 제품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는다. 중헌제약은 국내에서 전문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사로 의약품 제조, 직판 및 도매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팬포틴은 팬젠이 자체 연구개발한 1세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로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팬포틴은 에포에틴 알파 성분 빈혈치료제로는 국내 최초며, 전 세계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팬젠 관계자는 “팬포틴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1세대 빈혈치료제(EPO) 제품 중 가장 높은 시판 가격으로 취득했다”며 “이번 제품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환자들의 선택폭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빈혈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1세대 제품이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팬젠은 1세대 EPO인 팬포틴을 기반으로 빈혈치료제를 취급해온 중헌제약의 판매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 진출에 가속화할 방침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5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6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7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8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9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10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법인 최고사업책임자 화이자 출신 '토마스 누스비켈'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이번 계약 금액은 6억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 대비 10.3%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0년 2월 12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다.
팬젠 관계자는 “이번 공급 계약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인 팬포틴(EPO)에 대한 공급 계약 건으로 품질 경쟁력이 갖춰진 제품을 중헌제약을 통해 국내에서 판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헌제약은 이번 공급 건 이후로 향후 2년 간 팬젠의 팬포틴 제품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는다. 중헌제약은 국내에서 전문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사로 의약품 제조, 직판 및 도매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팬포틴은 팬젠이 자체 연구개발한 1세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로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팬포틴은 에포에틴 알파 성분 빈혈치료제로는 국내 최초며, 전 세계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팬젠 관계자는 “팬포틴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1세대 빈혈치료제(EPO) 제품 중 가장 높은 시판 가격으로 취득했다”며 “이번 제품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환자들의 선택폭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빈혈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1세대 제품이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팬젠은 1세대 EPO인 팬포틴을 기반으로 빈혈치료제를 취급해온 중헌제약의 판매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 진출에 가속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