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계약 금액은 6억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 대비 10.3%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0년 2월 12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다.
팬젠 관계자는 “이번 공급 계약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인 팬포틴(EPO)에 대한 공급 계약 건으로 품질 경쟁력이 갖춰진 제품을 중헌제약을 통해 국내에서 판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헌제약은 이번 공급 건 이후로 향후 2년 간 팬젠의 팬포틴 제품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는다. 중헌제약은 국내에서 전문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사로 의약품 제조, 직판 및 도매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팬포틴은 팬젠이 자체 연구개발한 1세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로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팬포틴은 에포에틴 알파 성분 빈혈치료제로는 국내 최초며, 전 세계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팬젠 관계자는 “팬포틴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1세대 빈혈치료제(EPO) 제품 중 가장 높은 시판 가격으로 취득했다”며 “이번 제품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환자들의 선택폭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빈혈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1세대 제품이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팬젠은 1세대 EPO인 팬포틴을 기반으로 빈혈치료제를 취급해온 중헌제약의 판매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 진출에 가속화할 방침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시오노기 ‘조코바’ 오미크론 변이주에도 효과 |
2 | 카이노스메드 "기술이전 로열티 증가세…파킨슨병치료제 美 임상 2상 순항" |
3 | 엔지켐생명과학, 상반기 매출 144억…전년비 31.4%↑ |
4 | 메디톡스, 상반기 매출 895억…전년비 18.1%↑ |
5 | 휴마시스, 상반기 매출 4,412억…전년동기비 848%↑ |
6 | SK바이오팜, 상반기 매출 946억…전년비 42.3%↓ |
7 | 재고 있지만 수급 안 된다…식약처 개별 제약·도매상 협조 요청 |
8 | 수술실CCTV ‘전공의 예외조항’ 갑론을박…“의협 반대하면 못해” |
9 | 제넥신, '암 치료 백신·면역항암제' 옵디보와 병용 연구자 임상 2상 본격화 |
10 | 서울시약, 수해 피해약국 신속한 반품 협조에 감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이번 계약 금액은 6억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 대비 10.3%에 해당한다. 계약기간은 2020년 2월 12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다.
팬젠 관계자는 “이번 공급 계약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인 팬포틴(EPO)에 대한 공급 계약 건으로 품질 경쟁력이 갖춰진 제품을 중헌제약을 통해 국내에서 판매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헌제약은 이번 공급 건 이후로 향후 2년 간 팬젠의 팬포틴 제품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는다. 중헌제약은 국내에서 전문의약품을 판매하는 제약사로 의약품 제조, 직판 및 도매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팬포틴은 팬젠이 자체 연구개발한 1세대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로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팬포틴은 에포에틴 알파 성분 빈혈치료제로는 국내 최초며, 전 세계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팬젠 관계자는 “팬포틴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1세대 빈혈치료제(EPO) 제품 중 가장 높은 시판 가격으로 취득했다”며 “이번 제품 공급을 시작으로 국내에서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환자들의 선택폭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빈혈치료제 시장 규모는 약 1,000억 원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1세대 제품이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팬젠은 1세대 EPO인 팬포틴을 기반으로 빈혈치료제를 취급해온 중헌제약의 판매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 진출에 가속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