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로스아이비티(파로스IBT)는 차세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FLT3 표적항암제 ‘PHI-101’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회사는 올해 상반기 서울대학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세브란스병원, 부산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울산대병원 등을 포함한 국내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다기관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PHI-101’은 차세대 표적항암제 후보물질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의 선두 후보물질인 퀴자티닙(Quizartinib, AC220) 및 길터리티닙(Gilteritinib)의 내성을 극복한 물질이다. 특히 이 물질은 전세계적으로 승인 받거나 개발 중인 신약 가운데 유일하게, FLT3-ITD 돌연변이 뿐 아니라 FLT3-TKD(D835, F691) 저항성 돌연변이까지 직접적인 저해 작용기전을 가졌다.
회사는 다국적 임상 진행을 통해 PHI-101를 글로벌 신약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PHI-101을 대상으로 호주 식품의약청(TGA)의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아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이달 말 스페인 임상기관을 방문할 예정으로, 유럽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파로스IBT 남기엽 바이오인공지능연구소장(CTO)은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바이오 벤처기업이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 받은 경우는 파로스IBT가 세계 최초”라며 “기존 약제로는 효과가 없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로스IBT는 ▲PHI-101 다국적 임상 추진, ▲자체 개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 고도화,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 등을 위해 연구개발 자금 확보에 나서, 기존 투자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 미래에셋벤처투자, DSC인베스트먼트 등을 중심으로 국내 대형 창투사 및 투자기관과 시리즈B 투자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월 초 한국투자증권과 상장주관 계약을 체결하는 등 코스닥 상장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로나19 속에서 제약업계 CSR은 ‘현재진행형’ |
2 | 국내 건기식 업체 539개소…평균 매출액 75억원 |
3 | 메드팩토, 골육종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 FDA IND 승인 |
4 | [인터뷰] 크론병②, "스텔라라, 효과·편의성·부작용 위험 개선한 치료제" |
5 | 로수젯, 고용량 스타틴 단일제 대체 가능성 제시 |
6 | 獨 바이오엔테크, 면역 항암제 전략제휴 확대 |
7 | 글로벌 복합비타민제 시장 2028년 487.8억弗 |
8 | 보건산업진흥원 서울바이오허브, ‘의료기기 RA 전문가 양성 과정’ 교육 |
9 | 진매트릭스, ‘네오플렉스 TB/NTM-5’ 유럽 CE-IVD 인증 |
10 | 일동제약그룹 아이디언스, ‘베나다파립’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파로스아이비티(파로스IBT)는 차세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FLT3 표적항암제 ‘PHI-101’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회사는 올해 상반기 서울대학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세브란스병원, 부산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울산대병원 등을 포함한 국내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다기관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PHI-101’은 차세대 표적항암제 후보물질로, 급성골수성백혈병 표적치료제의 선두 후보물질인 퀴자티닙(Quizartinib, AC220) 및 길터리티닙(Gilteritinib)의 내성을 극복한 물질이다. 특히 이 물질은 전세계적으로 승인 받거나 개발 중인 신약 가운데 유일하게, FLT3-ITD 돌연변이 뿐 아니라 FLT3-TKD(D835, F691) 저항성 돌연변이까지 직접적인 저해 작용기전을 가졌다.
회사는 다국적 임상 진행을 통해 PHI-101를 글로벌 신약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PHI-101을 대상으로 호주 식품의약청(TGA)의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아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이달 말 스페인 임상기관을 방문할 예정으로, 유럽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파로스IBT 남기엽 바이오인공지능연구소장(CTO)은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바이오 벤처기업이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 받은 경우는 파로스IBT가 세계 최초”라며 “기존 약제로는 효과가 없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로스IBT는 ▲PHI-101 다국적 임상 추진, ▲자체 개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 고도화, ▲신규 파이프라인 확장 등을 위해 연구개발 자금 확보에 나서, 기존 투자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 미래에셋벤처투자, DSC인베스트먼트 등을 중심으로 국내 대형 창투사 및 투자기관과 시리즈B 투자유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월 초 한국투자증권과 상장주관 계약을 체결하는 등 코스닥 상장에도 도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