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이맥스는 면역세포치료제 슈퍼NK 기술을 활용해 CAR-NK 후보물질 탐색을 위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경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자가 NK세포 면역치료제로 국내 뿐 아니라 미국 및 멕시코에서도 임상 진행 중으로, 국내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2a상 진행 중이며 미국에서는 불응성암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1상, 멕시코에서는 건선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김용만 연구소장은 “ CAR유전자를 활용한 CAR-T 치료제는 그 동안 자가로만 생산을 진행했기에 높은 생산 비용, 복잡한 생산 과정 및 심각한 부작용 등 한계점이 대두됐고 해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동종 CAR-NK 치료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 이경미 교수 연구팀과 고형암에서까지 높은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CAR-NK 치료제 공동 연구 개발을 한창 진행 중으로, 앞으로도 더 우수한 치료효과를 낼 수 있는 후보물질 확보를 위해 다양한 연구 그룹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교수는 “오늘(6일) CAR-NK 치료제와 관련된 임상 연구 결과를 엠디앤더슨(MD Anderson)에서 발표했다. 특히, IF(Impact Factor) 70.67에 달하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에 CAR-NK 치료제 임상 결과가 처음으로 소개됐고, 이는 다양한 CAR유전자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알리는 것"이라며 “CAR-NK는 동종으로 진행돼 NK세포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가장 핵심인데, 엔케이맥스의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제조 기술은 이미 제조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이번 공동 연구개발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뀌는 소비 트렌드, 올해 ‘맞춤형 건기식 시장’ 주목 |
2 | [DI+의약정보] 파미셀 '줄기세포 신약 개발·바이오케미컬 원료 생산' 등 사업 탄탄대로 |
3 | 10개 이상 약 먹는 노인, 사망확률↑...인식 개선·제도인프라 확충해야 |
4 | [바이오이코노미가 온다] "바이오와 디지털 융합 가속화" |
5 | 식약처, '자가 치료용 대마 성분 의약품 구매 절차' 안내 |
6 | 복사 붙여넣기 '오가노이드'…①내 조직으로 미리 임상시험을? |
7 | 한계 분명한 한국식 본인부담 상한제, 독일 제도가 대안될까? |
8 | [인터뷰] "실명질환, '안저검사'·생활습관 개선이 최선의 치료" |
9 | 한국비엔씨 "덱시부프로펜 주사제형 개량신약 개발 나선다" |
10 | [2023 국제의료 키워드 ① 엔데믹] 新감염병 출현 가능성에도 ‘팬데믹’ 막 내리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엔케이맥스는 면역세포치료제 슈퍼NK 기술을 활용해 CAR-NK 후보물질 탐색을 위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경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자가 NK세포 면역치료제로 국내 뿐 아니라 미국 및 멕시코에서도 임상 진행 중으로, 국내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2a상 진행 중이며 미국에서는 불응성암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1상, 멕시코에서는 건선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1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김용만 연구소장은 “ CAR유전자를 활용한 CAR-T 치료제는 그 동안 자가로만 생산을 진행했기에 높은 생산 비용, 복잡한 생산 과정 및 심각한 부작용 등 한계점이 대두됐고 해외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동종 CAR-NK 치료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 이경미 교수 연구팀과 고형암에서까지 높은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CAR-NK 치료제 공동 연구 개발을 한창 진행 중으로, 앞으로도 더 우수한 치료효과를 낼 수 있는 후보물질 확보를 위해 다양한 연구 그룹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경미 교수는 “오늘(6일) CAR-NK 치료제와 관련된 임상 연구 결과를 엠디앤더슨(MD Anderson)에서 발표했다. 특히, IF(Impact Factor) 70.67에 달하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에 CAR-NK 치료제 임상 결과가 처음으로 소개됐고, 이는 다양한 CAR유전자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알리는 것"이라며 “CAR-NK는 동종으로 진행돼 NK세포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가장 핵심인데, 엔케이맥스의 슈퍼NK 면역세포치료제 제조 기술은 이미 제조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이번 공동 연구개발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