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손기영)은 미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 연구원(NIAID) 핵심 미국 정부자금지원 프로그램인 화학무기 대응 연구프로그램(CCRP)과 방사능 핵무기 대응 프로그램(RNCP)의 신약개발과제 프로그램 2건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그간 미국 정부기관 및 국책 연구기관들과 EC-18를 활용한 급성방사능증후군(ARS)과 방사능 핵무기 및 화학무기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업을 모색해 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1월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연구원(NIAID)의 두 핵심 프로그램인 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과 화학무기대응연구프로그램(CCRP)에 지원기업으로 선정됐으며, 5월 미국 FDA로부터 급성방사선증후군(ARS)에 대한 영장류 효능실험 진행을 허가받았다. ARS를 적응증으로 하는 영장류 효능실험은 임상 2상에 상응하는 실험이다.
특히,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과 화학무기대응연구프로그램(CCRP) 경우, 지원 대상기업으로 선정된 이후 해당 실험을 위한 개발계획과 프로토콜 등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해 왔는데, 지난 7월 17일과 24일 실험 계획 등 관련 모든 행정사항이 순차적으로 최종 승인돼 곧 관련 실험에 착수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화학 무기 대응 연구프로그램(CCRP)은 ‘황화 겨자 가스 (Sulfur mustard gas)’와 같은 생화학 무기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방사능 핵무기 대응 프로그램(RNCP)은 방사선에 다량 노출돼 생기는 복합적 증상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진행된다.
엔지켐생명과학 관계자는 “미국 정부기관의 핵심 지원프로그램에 선정된 것은 한국 기업으로서는 이례적인 일이며, 화학무기와 방사선 피폭 치료제로서 EC-18의 높은 기대감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 이번 효능평가 실험을 통해 FDA,국방부, 생의학연구개발청, 방사생물학연구소 등 관련 미국 정부기관에서 더 많은 지원과 협력 요청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9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손기영)은 미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 연구원(NIAID) 핵심 미국 정부자금지원 프로그램인 화학무기 대응 연구프로그램(CCRP)과 방사능 핵무기 대응 프로그램(RNCP)의 신약개발과제 프로그램 2건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그간 미국 정부기관 및 국책 연구기관들과 EC-18를 활용한 급성방사능증후군(ARS)과 방사능 핵무기 및 화학무기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업을 모색해 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1월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질환연구원(NIAID)의 두 핵심 프로그램인 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과 화학무기대응연구프로그램(CCRP)에 지원기업으로 선정됐으며, 5월 미국 FDA로부터 급성방사선증후군(ARS)에 대한 영장류 효능실험 진행을 허가받았다. ARS를 적응증으로 하는 영장류 효능실험은 임상 2상에 상응하는 실험이다.
특히,방사능핵무기대응프로그램(RNCP)과 화학무기대응연구프로그램(CCRP) 경우, 지원 대상기업으로 선정된 이후 해당 실험을 위한 개발계획과 프로토콜 등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해 왔는데, 지난 7월 17일과 24일 실험 계획 등 관련 모든 행정사항이 순차적으로 최종 승인돼 곧 관련 실험에 착수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화학 무기 대응 연구프로그램(CCRP)은 ‘황화 겨자 가스 (Sulfur mustard gas)’와 같은 생화학 무기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방사능 핵무기 대응 프로그램(RNCP)은 방사선에 다량 노출돼 생기는 복합적 증상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진행된다.
엔지켐생명과학 관계자는 “미국 정부기관의 핵심 지원프로그램에 선정된 것은 한국 기업으로서는 이례적인 일이며, 화학무기와 방사선 피폭 치료제로서 EC-18의 높은 기대감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 이번 효능평가 실험을 통해 FDA,국방부, 생의학연구개발청, 방사생물학연구소 등 관련 미국 정부기관에서 더 많은 지원과 협력 요청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