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보건의료 R&D 1조4,687억원…바이오헬스 7,900억원 투입
복지부, 23일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 개최
감염병 대응, 신약‧의료기기 등 범부처예산 심의
입력 2021.12.23 14:46 수정 2021.12.23 14:4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내년도 감염병 대응과 신약‧의료기기, 질환 극복 등을 위한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이 1조5,000억원 가까이 투입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과 함께 내년 연구개발 예산의 구체적인 그림을 그렸다. 특히 국가신약개발과 디지털치료제 개발 등 바이오헬스 분야에는 전체 예산의 절반 이상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3일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공동위원장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공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서 ‘통합 시행계획’ 등을 통해 총 1조4,687억원의 내년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인 1조3,285억원 대비 1,402억원이 증액된 규모로, 정부 R&D 총예산 29조7,770억원의 4.9%를 차지한다.

특히 전년 대비 보건의료 R&D 예산 증가율은 10.6%로,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8.7%를 상회해 보건의료 R&D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공익적 R&D 투자 확대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112개 사업의 신규과제 1,854억원, 계속과제 1조2,83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3,582억원 
우선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임상‧임상 단계 연구에 97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신‧변종 감염병(Disease-X)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백신의 개발역량 강화, 평가기술 개발, 공급 안정 및 글로벌 백신 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해 13개 사업에 1,169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감염병 팬데믹에 대응해 신속히 백신을 제작할 수 있는 mRNA, 나노 파티클(NP), 합성항원 등 백신 플랫폼과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등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에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주요 신규 사업은 ▲신속 범용 백신 기술개발 사업 56억원(복지부)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개발 사업 48억원(복지부)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 백신 임상지원 105억원+67억원(복지부‧질병청)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개발 113억원(과기부)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95억원(식약처) ▲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 123억원(질병청) ▲공공백신 개발 지원 사업 50억원(질병청) 등이다. 

여기에 면역증강제, 접종‧안정화 및 부작용 예측 등 백신 효과 확대와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에도 힘쓸 계획이다.

주요 신규사업은 ▲백신 기반기술개발 사업 65억원(복지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백신허브기반구축) 193억원(과기부) ▲감염병 차세대 백신 기초원천 핵심기술개발 100억원(과기부) ▲백신 원부자재 생산 고도하 기술개발 69억원(산업부) 등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7,899억원
정부는 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기초, 중개‧임상, 제품화 및 인‧허가까지 전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복지부‧과기부‧산업부 국가신약개발사업(올해 452억원→내년 1,343억원) ▲복지부‧과기부‧산업부‧식약처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올해 1,839억원→내년 1,751억원) ▲복지부‧과기부 전자약 기술개발 사업(내년 28억원+24억원)▲복지부‧과기부 자폐혼합형 디지털치료제 개발(내년 31억원)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재생의료 분야에서는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기회 확대와 바이오헬스 시대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과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764억원이던 예산을 내년에는 936억원으로 확대한다. 

재생의료 분야 주요 사업은 ▲복지부‧과기부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올해 128억원→내년 382억원) ▲복지부 첨단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 등)(올해 389억원→내년 344억원) ▲복지부 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사업(내년 68억원) ▲과기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조직재생)올해 247억원→내년142억원) 등이다. 

공익적 R&D 투자 강화 2,139억원
복지부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혈액 부족, 건강 격차, 취약계층 돌봄, 비대면 진료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 기술개발에 내년 701억원을 지원한다.

주요 사업은 ▲포스트코로나 시대 적정수혈을 위한 의료기술개발사업 20억원 ▲공익적 의료기술 연구사업(올해 42억원→내년 119억원)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사업(올해 76억원→101억원)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올해 48억원→내년 84억원) 등이다. 

정신건강, 치매, 암, 미세먼지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에는 내년 1,264억원을 중점 투자해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주요 사업은 ▲복지부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운영 사업(내년 430억원)  ▲복지부‧과기부 치매극복연구개발(내년 112억원+112억원) ▲복지부 정신건강 연구개발(62억원 신규) ▲과기부 뇌질환 극복연구(내년 95억원) ▲질병청 만성병관리기술개발(내년 210억원) ▲질병청 미세먼지 기인 질병대응연구(내년 48억원) 등이다.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1,067억원
정부는 내년 1,067억원을 투입해 의사과학자, 규제과학 전문가 등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병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를 육성한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 내용은 ▲복지부 K-Medi 융합인재 양성지원 사업(내년 59억원) ▲복지부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내년 132억원/51억원) ▲식약처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내년 50억원) ▲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내년 529억원) ▲복지부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내년 135억원) 등이다. 

특히 의사과학자는 임상교수‧전임교원 대상 K-medi 융합인재 양성 사업 신설 등으로 학부생부터 박사 후 신진 의사과학자까지 전주기 지원체계가 구축됐다. 현재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운영되는 ‘범부처 협의체’를 중심으로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공동위원장인 공구 교수(한양대학교 의과대학)는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가 차관급 범부처 회의체로 격상된 이후에 처음 개최된 회의로 그 의미가 크다”며 “향후 보건의료 R&D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부처간 정보공유‧협력, 민간과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복지부 류근혁 제2차관은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변종 감염병과 정신건강, 치매, 암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R&D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 밝혔다.

2022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에 부처별로 통합 시행계획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내년 보건의료 R&D 1조4,687억원…바이오헬스 7,900억원 투입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내년 보건의료 R&D 1조4,687억원…바이오헬스 7,900억원 투입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