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백신 허브화, 백신 '원부자재 수급'이 핵심
복지부 등 관계부처 24일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 TF’ 2차 실무위원회 개최
입력 2021.06.24 16:2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복지부 강도태 제2차관.
정부가 전세계 백신 원부자재 수급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과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정부는 대한민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로의 도약을 지원하고 한미 백신 파트너십 협력과제 발굴 및 국내 준비를 위한 범정부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 TF’ 실무위원회 2차 회의(위원장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를 24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내외 원부자재 수요-공급현황 ▲원부자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과제점검 ▲해외 백신기업 투자환경 개선 과제 등을 중점 논의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백신 원부자재 수급난 해소를 위한 협력 강화는 전세계 백신공급에 속도를 더하기 위해 구축된 한미 백신 파트너십의 주요 의제이기도 하다.

복지부는 코로나19 백신의 전 세계 수요·공급을 분석하고, 백신 생산단계별 필수 원부자재의 국내외 수급 동향을 진단해 주요 시사점과 정책적 지원 방안을 보고했다.

각 부처는 보고내용을 토대로 원부자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정책지원 방향으로 고부가가치 원부자재 중심의 기술개발 지원, 국산 원부자재 개발·공급 인프라 개선, 국내 원부자재 업체의 수입 및 미국·유럽 진출 지원 등을 논의했다.

또한 원부자재의 국내생산역량 제고를 위한 백신 원부자재 연구개발(R&D)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부처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실무위원회에서 지난 4~18일간 진행한 mRNA 백신 원부자재 기술개발 사업 수요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이른 시일 내 백신 원부자재 R&D 우선 지원품목을 도출해 연구개발 과제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8월부터 추진하는 원부자재 관련한 연구과제를 공유하고, 특허청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mRNA 백신개발을 위한 효소와 핵심 원부자재인 지질나노입자 후보물질 개발 계획을 공유했다. 또 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특허청 등에서 추진하는 주요연구과제에 대한 범위, 역할분담을 통해 국내 원부자재 개발업체에 대한 최적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데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주요 해외 유수 백신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세제 등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투자 환경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도 밀도있게 진행했다.

실무위원회 참여 부처들은 고부가가치 원부자재 생산을 위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뜻을 모았다. 또한 뿌리-제조산업과 상품시장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을 포함한 재정적 지원과, 기술이전을 촉진하는 해외기업 국내투자 확대 등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에 공감했다.

관계부처들은 실무위원회 논의사항을 반영해 글로벌 백신 허브 강국 도약을 위한 백신 원부자재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고, 다음 주 개최 예정인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 TF’에 보고할 예정이다.

이날 실무위원회에서는 국내 백신 산업 지원 및 한·미 간 협력체계 구축 등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세부추진 과제에 대한 각 부처 진행 상황과 향후 계획도 점검했다. 

향후 국내 생산현황 조사부터 연구개발(R&D) 지원,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과학·기술협력에 이르기까지 백신 산업 전 단계에 걸친 추진과제의 이행상황을 보완·점검하면서 대한민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로의 도약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글로벌 백신 강국 도약을 위한 첫 번째 과제로 백신 원부자재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각부처의 지혜를 모아주신 것에 감사드린다”며 “범정부 역량을 집중해 건강한 국내 원부자재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의 협력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글로벌 백신 허브화, 백신 '원부자재 수급'이 핵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글로벌 백신 허브화, 백신 '원부자재 수급'이 핵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