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비싼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취약계층과 고령층에게 부담이 되면서 무료 접종 등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대상포진 예방접종 접종자 수가 3년 연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2021년 48만9572명, 지난해 53만5720명, 올해 7월 60만7354명이었다. 지난달까지 접종자수는 이미 전년도 전체 접종자수를 뛰어넘었다.
지난달 기준 접종자수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19만597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19만1403명, 70대 11만1396명 순이었다. 80대 이상에서는 5민5935명으로 집계돼 지난 한 해 80대 이상 접종자(3만2872명)의 170%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고령층일수록 예방접종이 필수적인 이유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상포진 진료를 받은 60대 이상 환자는 30만6365명으로 전체 환자(70만3636명)의 43.5%에 달한다.
국내 대상포진 백신 종류에는 조스터박스, 스카이조스터, 싱그릭스 3가지가 있다. 인재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접종 비용은 ‘조스터박스’가 최고 40만원, ‘스카이조스터’는 최고 30만원에 이른다. 한편 50대 이상 항체생성률이 97.2%로 알려진 ‘싱그릭스’는 현재 심평원의 의료기관 비급여 진료비용 조사대상에서 빠져있다.
이처럼 대상포진 백신 접종 비용이 고가인 탓에 국민 부담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일부 지역은 일정 조건의 지역주민 또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대상포진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으로 국한돼 있고, 1회 접종 지원금액도 지자체별로 천차만별이다. 또한 일부 지자체의 경우는 지원 액수가 턱없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례로 서울시 서초구는 1회 지원금액이 1만9610원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지원금액(17만원)의 8분의 1수준이다.
인재근 의원은 “현재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비급여, 진료 및 치료는 급여로 적용돼 사전‧사후제도가 완전히 뒤바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급여제도’라는 비판이 있다”면서 “지난해 대상포진 진료에 들어간 건강보험 급여비만 약 1126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어 “대상포진 백신 접종이 치매 위험을 25~30%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만큼 정부 당국이 고령층과 취약계층을 위한 대상포진 백신 무료접종 등 대책 논의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3 | 여전히 대세 'CAR-T'㊦ 큐로셀이 끌고 유틸렉스가 밀고 |
4 | 나이벡 "제제기술 발달…펩타이드 신약 성공 가능성 증가" |
5 | 노보 노디스크, 2대 1 비율 주식분할 단행 결정 |
6 | 메디톡스, 2Q 매출 518억원…국내서 80% |
7 | 또 하나의 '서울 바이오 클러스터' 탄생…문정동 바이오헬스 기업 총출동 |
8 | 여전히 대세 'CAR-T'㊤ 글로벌 임상 900건 육박…고형암 도전 확대 |
9 | 백내장 보험금 지급 분쟁..."입원보험금 지급하라" 환자 최종 '승소' |
10 | "창동상계 신경제지구, 전국 클러스터 콘트롤타워 가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값비싼 대상포진 예방접종이 취약계층과 고령층에게 부담이 되면서 무료 접종 등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대상포진 예방접종 접종자 수가 3년 연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2021년 48만9572명, 지난해 53만5720명, 올해 7월 60만7354명이었다. 지난달까지 접종자수는 이미 전년도 전체 접종자수를 뛰어넘었다.
지난달 기준 접종자수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가 19만597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19만1403명, 70대 11만1396명 순이었다. 80대 이상에서는 5민5935명으로 집계돼 지난 한 해 80대 이상 접종자(3만2872명)의 170%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고령층일수록 예방접종이 필수적인 이유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상포진 진료를 받은 60대 이상 환자는 30만6365명으로 전체 환자(70만3636명)의 43.5%에 달한다.
국내 대상포진 백신 종류에는 조스터박스, 스카이조스터, 싱그릭스 3가지가 있다. 인재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접종 비용은 ‘조스터박스’가 최고 40만원, ‘스카이조스터’는 최고 30만원에 이른다. 한편 50대 이상 항체생성률이 97.2%로 알려진 ‘싱그릭스’는 현재 심평원의 의료기관 비급여 진료비용 조사대상에서 빠져있다.
이처럼 대상포진 백신 접종 비용이 고가인 탓에 국민 부담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일부 지역은 일정 조건의 지역주민 또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대상포진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지역으로 국한돼 있고, 1회 접종 지원금액도 지자체별로 천차만별이다. 또한 일부 지자체의 경우는 지원 액수가 턱없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례로 서울시 서초구는 1회 지원금액이 1만9610원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지원금액(17만원)의 8분의 1수준이다.
인재근 의원은 “현재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비급여, 진료 및 치료는 급여로 적용돼 사전‧사후제도가 완전히 뒤바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급여제도’라는 비판이 있다”면서 “지난해 대상포진 진료에 들어간 건강보험 급여비만 약 1126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어 “대상포진 백신 접종이 치매 위험을 25~30%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만큼 정부 당국이 고령층과 취약계층을 위한 대상포진 백신 무료접종 등 대책 논의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