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5일 국무회의에서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의결돼 오는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의료급여 압류방지 전용통장 근거 마련,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위반사실 공표제도 도입, 포상금 지급 신고 대상 확대 등의 내용으로 의료급여법이 개정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의 주요 내용은 △압류방지 전용통장 신청방법 및 절차 마련 △의료급여공표심의위원회의 구성‧운영 및 공표 절차 등 규정 △신고대상별 포상금 지급 기준 마련 등이다.
우선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신청하는 경우 시‧군‧구는 현금으로 지급되는 의료급여를 수급권자가 지정한 계좌로 입금하도록 했다. 해당 계좌로 입금된 급여는 의료급여법 제18조제2항에 따라 압류할 수 없다.
의료급여를 받을 권리는 압류할 수 없도록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었음에도, 예금 계좌에 입금된 급여가 압류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번 개정으로 압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압류방지 전용통장으로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압류금지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공표를 위한 의료급여공표심의위원회는 복지부, 의약계, 법률전문가 등을 포함한 9명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표 대상으로 선정된 기관의 위반행위 등 공표 사항은 복지부,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 홈페이지에 6개월 동안 공고된다.
공표 사항은 법률에서 정한 위반행위, 처분내용, 의료급여기관의 명칭‧주소, 대표자 성명 외에도 의료급여기관의 종류와 대표자의 면허번호를 시행령에서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신고대상별 포상금 지급 기준을 마련했다. ‘의료급여법’ 개정으로 부정 수급으로 신고할 수 있는 대상이 의료급여기관 외에도 부당한 방법으로 의료급여를 받은 사람 등도 추가됐다. 신고 대상 확대에 따라 각 신고대상별로 포상금을 지급하는 기준을 마련했다.
복지부 백진주 기초의료보장과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현금으로 지급되는 의료급여의 압류가 방지돼,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수급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위반사실 공표 절차와 신고포상금 지급 기준을 마련하는 등 사후 관리도 강화되는 만큼, 부정수급을 예방하고 의료급여 재정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래엔 우리가 삼바·셀트" 각양각색 6개 바이오텍 비전 밝혀 |
2 | 스트렙토제제, 효능·효과 입증 실패…결국 퇴출 |
3 | 新ㆍ舊 비만 치료제 1년 장기 지속복용 19% 뿐 |
4 | 콜마비앤에이치 3분기 매출 1394억, 전기 比 11.1%↓ |
5 | "성과기반 약학교육, 쉽지 않지만 가야 하는 길" |
6 | SK바이오팜, 2024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단행 |
7 | '파격의 품격' 박호영 회장 "체급, 세대 아우르는 진짜 통합 보여줄 것" |
8 | 알리코제약, 무역의 날 60주년 ‘2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
9 | 2023 제약산업 광고대상 동아제약 '박카스' 선정 |
10 | 애브비, 화이자가 설립한 CNS 전문 제약사 인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보건복지부는 5일 국무회의에서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의결돼 오는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의료급여 압류방지 전용통장 근거 마련,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위반사실 공표제도 도입, 포상금 지급 신고 대상 확대 등의 내용으로 의료급여법이 개정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의 주요 내용은 △압류방지 전용통장 신청방법 및 절차 마련 △의료급여공표심의위원회의 구성‧운영 및 공표 절차 등 규정 △신고대상별 포상금 지급 기준 마련 등이다.
우선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신청하는 경우 시‧군‧구는 현금으로 지급되는 의료급여를 수급권자가 지정한 계좌로 입금하도록 했다. 해당 계좌로 입금된 급여는 의료급여법 제18조제2항에 따라 압류할 수 없다.
의료급여를 받을 권리는 압류할 수 없도록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었음에도, 예금 계좌에 입금된 급여가 압류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번 개정으로 압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압류방지 전용통장으로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압류금지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공표를 위한 의료급여공표심의위원회는 복지부, 의약계, 법률전문가 등을 포함한 9명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표 대상으로 선정된 기관의 위반행위 등 공표 사항은 복지부,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 홈페이지에 6개월 동안 공고된다.
공표 사항은 법률에서 정한 위반행위, 처분내용, 의료급여기관의 명칭‧주소, 대표자 성명 외에도 의료급여기관의 종류와 대표자의 면허번호를 시행령에서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신고대상별 포상금 지급 기준을 마련했다. ‘의료급여법’ 개정으로 부정 수급으로 신고할 수 있는 대상이 의료급여기관 외에도 부당한 방법으로 의료급여를 받은 사람 등도 추가됐다. 신고 대상 확대에 따라 각 신고대상별로 포상금을 지급하는 기준을 마련했다.
복지부 백진주 기초의료보장과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현금으로 지급되는 의료급여의 압류가 방지돼,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수급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당청구 의료급여기관 위반사실 공표 절차와 신고포상금 지급 기준을 마련하는 등 사후 관리도 강화되는 만큼, 부정수급을 예방하고 의료급여 재정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