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현재룡)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유방암(C50)’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25일 발표했다.
유방암은 유방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암은 우리 몸의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과정을 벗어나 죽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내면서 발생된다. 대부분의 유방암은 모유를 만드는 소엽과 모유를 유두로 운반하는 유관에서 발생한다.
유방암 진료인원은 2017년 206,308명에서 2021년 269,313명으로 30.5%(63,005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입원은 2021년 46,841명으로 2017년 38,467명 대비 21.8%(8,374명) 증가했고, 외래는 2021년 222,472명으로 2017년 167,841명 대비 32.5%(54,631명) 증가했다.
2021년 '유방암' 환자의 비율을 들여다보면, 5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2021년 기준 ‘유방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69,313명) 중 50대가 34.9%(93,884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5.9%(69,839명), 40대가 22.4%(60,376명)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허호 교수는 5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2019년 암 등록통계(국가암등록사업)에 따르면 유방암의 발생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40대 후반과 50대 초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유방암 재발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시기는 치료 후 2~3년 이내이고, 재발 후에도 치료를 통해 오랜 기간 암을 조절하며 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며 "유방암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50대가 가장 많은 이유에는 이런 배경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유방암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유방암 관련 위험 인자에는 생활양식을 변화시켜서 조절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가족력·암억제 유전자 등 유전적인 요인이나 나이 등 사람이 조절할 수 없는 위험 인자들도 있다.
허 교수는 "유방에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유방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주 △폐경 후 정상 체중 유지 △적절한 운동 등이 유방암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 암 협회(American Cancer Society)에서는 강한 강도로 일주일에 75분에서 150분 정도 운동하거나 중간 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150분에서 300분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며 "경구피임약이나 호르몬대체요법은 피할 수 있다면 피하는 것이 좋고 30세 이전 이른 나이에 임신을 하거나 모유 수유를 하는 것도 유방암의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허 교수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유방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조기에 진단하여 조기에 치료받은 것이 중요하다"며 "유방암 치료법은 크게 국소치료와 전신치료로 나눌 수 있고 국소치료에는 △수술 △방사선치료가 있고 전신치료로는 △항암화학요법 △내분비치료 △표적치료 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구에서는 60대 후반이나 70대까지도 계속해서 유방암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이나 대만 등 동아시아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허 교수는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생활과 출산 감소 등으로 인해 유방암 환자의 중간 나이가 점차 뒤로 밀리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40대 후반에 정점을 찍고 난 후 감소하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어 앞으로의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현재룡)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유방암(C50)’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25일 발표했다.
유방암은 유방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암은 우리 몸의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과정을 벗어나 죽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내면서 발생된다. 대부분의 유방암은 모유를 만드는 소엽과 모유를 유두로 운반하는 유관에서 발생한다.
유방암 진료인원은 2017년 206,308명에서 2021년 269,313명으로 30.5%(63,005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입원은 2021년 46,841명으로 2017년 38,467명 대비 21.8%(8,374명) 증가했고, 외래는 2021년 222,472명으로 2017년 167,841명 대비 32.5%(54,631명) 증가했다.
2021년 '유방암' 환자의 비율을 들여다보면, 5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2021년 기준 ‘유방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69,313명) 중 50대가 34.9%(93,884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5.9%(69,839명), 40대가 22.4%(60,376명)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허호 교수는 5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2019년 암 등록통계(국가암등록사업)에 따르면 유방암의 발생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40대 후반과 50대 초반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유방암 재발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시기는 치료 후 2~3년 이내이고, 재발 후에도 치료를 통해 오랜 기간 암을 조절하며 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며 "유방암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중 50대가 가장 많은 이유에는 이런 배경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유방암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유방암 관련 위험 인자에는 생활양식을 변화시켜서 조절할 수 있는 것도 있으나 가족력·암억제 유전자 등 유전적인 요인이나 나이 등 사람이 조절할 수 없는 위험 인자들도 있다.
허 교수는 "유방에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유방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주 △폐경 후 정상 체중 유지 △적절한 운동 등이 유방암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 암 협회(American Cancer Society)에서는 강한 강도로 일주일에 75분에서 150분 정도 운동하거나 중간 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150분에서 300분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며 "경구피임약이나 호르몬대체요법은 피할 수 있다면 피하는 것이 좋고 30세 이전 이른 나이에 임신을 하거나 모유 수유를 하는 것도 유방암의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허 교수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유방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조기에 진단하여 조기에 치료받은 것이 중요하다"며 "유방암 치료법은 크게 국소치료와 전신치료로 나눌 수 있고 국소치료에는 △수술 △방사선치료가 있고 전신치료로는 △항암화학요법 △내분비치료 △표적치료 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구에서는 60대 후반이나 70대까지도 계속해서 유방암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이나 대만 등 동아시아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허 교수는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생활과 출산 감소 등으로 인해 유방암 환자의 중간 나이가 점차 뒤로 밀리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40대 후반에 정점을 찍고 난 후 감소하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어 앞으로의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