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가 신축 이전 사업을 앞둔 국립중앙의료원(NMC) 축소 논란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병상 확충 예산을 확보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NMC는 예산작업 착수를 환영하면서 마스터플랜 연구용역에 기대를 건다고 화답했다.
복지부 신욱수 공공의료과장은 지난 14일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에서 기재부가 총 760병상 규모로 축소 확정한 사업비를 NMC가 원하는 1050병상 규모로 늘릴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고 절차를 밟겠다고 말했다. 또 단순 병상확충뿐만 아니라 중증‧응급 필수의료와 외상‧중앙감염병에 대응할 의료인력에서부터 시설‧장비까지 제대로 갖추겠다고 덧붙였다.
신욱수 과장은 “현재 기재부가 결정한 사업비는 1단계로, 조규홍 장관님이 국회 보건복지위에서 설명한 대로 2단계 총사업비 협의에서 기재부 설득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신축 이전 사업을 통해 NMC를 중증‧응급 등 필수의료에 대응하고 외상센터‧중앙감염병병원의 헤드쿼터로 만들겠다는 의미다.
단순 병상 확보에 그치는 것이 아닌 충분한 의료인력을 갖추고 시설‧장비 등 진료 인프라를 갖추겠다는 것. 이를 위해 복지부는 NMC와 함께 외상센터‧중앙감염병병원 마스터 플랜 연구용역에 착수해, 기재부와의 2차 협상에서 총사업비 확대를 설득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복지부와 NMC는 기재부를 향해 의료원에 800병상, 중앙감염병병원 150병상, 중앙외상센터 100병상 등 총 1050병상 운영에 필요한 예산 1조2341억원 사업비를 요구한 바 있다. 이에 기재부는 의료원 526병상, 중앙감염병병원 134병상, 중앙외상센터 100병상 등 총 760병상으로 1조1726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신 과장은 “현재 기재부에게 예산을 받은 게 끝이 아니다. 총사업비 협의 제도가 있어서 기본 설계가 끝나면 실시 설계에서 다시 사업 규모를 셋업해야 한다”며 “기본 설계가 얼개를 짜고 뼈대를 만드는 것이라면 실시 설계는 구체적인 병상 확충, 시설, 인력같은 걸 정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재부 총사업비 협의 때 구체적인 논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마스터플랜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있다. 감염병중앙병원 등 운영 계획을 검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NMC 측은 지난 15일 성명서를 통해 “NMC 전문의협의회는 복지부의 뜻을 적극 환영한다”며 “복지부가 신축 이전 사업을 통해 NMC를 필수의료에 대응하고 외상센터‧중앙감염병병원의 헤드쿼터로 만들기 위해 NMC와 함께 외상센터‧중앙감염병병원 마스터플랜 연구용역에 착수한 것에 대해 큰 기대를 표하며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