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변종 전염병, 바이오 테러, 생화학전, 동식물 질병 등에 대처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화제다.
과학기술부는 지난 27일, 미생물유전체정보기지(연구책임자 김지현 www.gem.re.kr)에서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 부위를 체계적으로 조사 및 정리해 병원성 유전자의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한 PAIDB(pathogenicity island database)를 개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PAI Finder라는 검색엔진을 이용하면 임의의 유전자 서열에서 PAI 포함 여부도 분석할 수 있게 시스템을 구축했다.
Pathogeniciy island(PAI)란 병원균 유전체에 존재하는 병원성 유전자들이 포함된 외래 유전자 세트로 이번에 김지현·허철구·윤성호 연구팀이 889개의 PAI와 118종의 미생물 유전체 내에서 PAI라고 예측된 310개의 유전자 군을 데이터베이스화 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
PAIDB 구축을 진두지휘한 김지현 박사는 "최근 외국에서 유사한 데이터 베이스가 한 두 종 개발된 적은 있으나 병원성 유전자를 유전체 수준에서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의의를 평가했다.
이번 데이터 베이스 개발로 인터넷을 통해 각종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를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 및 분석할 수 있음에 따라 각종 질병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성과는 생명과학 분야 저널 Nucleic Acids Research의 Advance Access 웹페이지에 지난달 7일자로 공개됐으며 2007년 첫 호인 데이터 베이스 이슈에 정식 논문이 게재될 예정이다.
신·변종 전염병, 바이오 테러, 생화학전, 동식물 질병 등에 대처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화제다.
과학기술부는 지난 27일, 미생물유전체정보기지(연구책임자 김지현 www.gem.re.kr)에서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 부위를 체계적으로 조사 및 정리해 병원성 유전자의 검색 및 분석이 가능한 PAIDB(pathogenicity island database)를 개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PAI Finder라는 검색엔진을 이용하면 임의의 유전자 서열에서 PAI 포함 여부도 분석할 수 있게 시스템을 구축했다.
Pathogeniciy island(PAI)란 병원균 유전체에 존재하는 병원성 유전자들이 포함된 외래 유전자 세트로 이번에 김지현·허철구·윤성호 연구팀이 889개의 PAI와 118종의 미생물 유전체 내에서 PAI라고 예측된 310개의 유전자 군을 데이터베이스화 해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
PAIDB 구축을 진두지휘한 김지현 박사는 "최근 외국에서 유사한 데이터 베이스가 한 두 종 개발된 적은 있으나 병원성 유전자를 유전체 수준에서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의의를 평가했다.
이번 데이터 베이스 개발로 인터넷을 통해 각종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를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 및 분석할 수 있음에 따라 각종 질병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성과는 생명과학 분야 저널 Nucleic Acids Research의 Advance Access 웹페이지에 지난달 7일자로 공개됐으며 2007년 첫 호인 데이터 베이스 이슈에 정식 논문이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