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지난 1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백신 포럼(Global Vaccine Forum)에 참석해 자사의 ‘mRNA 백신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유바이오로직스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주제는 ‘mRNA 및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의 현재와 미래(Present and future of mRNA and other vaccine platform technologies)’였다.
GC녹십자는 2019년부터 mRNA/LNP(Lipid Nanoparticle) 플랫폼 연구를 본격화해, 세포주 개발부터 mRNA 합성, LNP 제형화, 완제 생산 및 품질 분석에 이르는 ‘End-to-End’ 전 공정을 자체 구축했다. 국내 기업 중 mRNA 의약품 전 과정을 내재화한 것은 GC녹십자가 처음이다. 특히 개발 단계에서 자체 AI기술을 활용해 mRNA 및 LNP구조를 최적화하고 있다.
회사측은 AI 기반 mRNA 구조 설계를 통해 그 발현율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발현율이 높을수록 약물 투여량을 줄일 수 있어, 독성 감소와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GC녹십자는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mRNA 백신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도 기존 제품과 유사한 수준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비임상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mRNA 백신 파이프라인에 대해 연내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질병청에서 오는 2028년까지 mRNA 백신 국산화를 선언한 만큼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발표를 진행한 신윤철 GC녹십자 개발팀장은 “GC녹십자는 전통 백신 분야를 넘어, 글로벌 수준의 차세대 백신 기술 자립화를 이끌 준비를 마쳤다”며 “mRNA/LNP 기술을 감염병 예방뿐 아니라 다양한 치료제 개발에도 폭넓게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진입을 바탕으로 GC녹십자는 다음 팬데믹에 신속하게 대응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2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
3 | 경동제약, '테고프라잔' 결정형 등재특허 대법원 최종 승소 |
4 | 심평원, 약제 급여기준·신약평가 개선 속도…공단 약평위 참여 확대엔 선 그어 |
5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량 앞세워 '경쟁 우위' 선다 |
6 | 대웅제약 ‘노즈가드 스프레이’, 코 점막 보호로 호흡기 바이러스 침입 차단 |
7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서 암치료 실패 원인 규명 |
8 |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
9 | 심평원, 고가약 성과평가 체계화…"근거 불확실성 관리·제도 완성 집중" |
10 | 셀트리온 “미국 의약품 관세, 철저히 대비했다…3단계 전략 가동”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지난 1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백신 포럼(Global Vaccine Forum)에 참석해 자사의 ‘mRNA 백신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유바이오로직스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주제는 ‘mRNA 및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의 현재와 미래(Present and future of mRNA and other vaccine platform technologies)’였다.
GC녹십자는 2019년부터 mRNA/LNP(Lipid Nanoparticle) 플랫폼 연구를 본격화해, 세포주 개발부터 mRNA 합성, LNP 제형화, 완제 생산 및 품질 분석에 이르는 ‘End-to-End’ 전 공정을 자체 구축했다. 국내 기업 중 mRNA 의약품 전 과정을 내재화한 것은 GC녹십자가 처음이다. 특히 개발 단계에서 자체 AI기술을 활용해 mRNA 및 LNP구조를 최적화하고 있다.
회사측은 AI 기반 mRNA 구조 설계를 통해 그 발현율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발현율이 높을수록 약물 투여량을 줄일 수 있어, 독성 감소와 안전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GC녹십자는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mRNA 백신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도 기존 제품과 유사한 수준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비임상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mRNA 백신 파이프라인에 대해 연내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질병청에서 오는 2028년까지 mRNA 백신 국산화를 선언한 만큼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발표를 진행한 신윤철 GC녹십자 개발팀장은 “GC녹십자는 전통 백신 분야를 넘어, 글로벌 수준의 차세대 백신 기술 자립화를 이끌 준비를 마쳤다”며 “mRNA/LNP 기술을 감염병 예방뿐 아니라 다양한 치료제 개발에도 폭넓게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진입을 바탕으로 GC녹십자는 다음 팬데믹에 신속하게 대응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