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투지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상장 본격화
약효 지속성 주사제 약물 전달 원천 플랫폼 ‘InnoLAMP’ 보유
공모가 48,000~58,000원, 총공모 예정 금액 432억 ~522억 원
7월 15일~7월 21일 수요예측,7월 24일~25일 청약... 3분기 내 상장
입력 2025.06.17 18:11 수정 2025.06.17 18:1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효 지속성 주사제 약물 전달 플랫폼 전문기업 지투지바이오(대표이사 이희용)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지투지바이오는 상장에서 900,000주를 공모할 계획이며 희망 공모가는 주당 48,000원~58,000원이다. 공모 규모는 432억 원~522억 원이며 상장 후 시가총액은 2,577억 원~3,11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수요예측은 7월 15일부터 7월 21일까지 5영업일 간 국내외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7월 24일부터 7월 25일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2017년 설립된 지투지바이오는 약효 지속성 주사제 약물 전달 플랫폼 전문기업으로 독자적인 약물 전달 기술인 이노램프(InnoLAMP)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이노램프는 ▲초고함량 약물 탑재 ▲고생체이용률 ▲대량생산이 용이해 기존 미립구 의약품의 한계를 극복한 혁신 기술이다.

지투지바이오는 미립구 내 약물 함량을 극대화함으로써 1회 투여 시 필요한 미립구 양을 줄이고 항염증 첨가제 기반 특허 기술을 적용해 기존 대비 약 2배 이상 생체이용률을 달성했으며 제조 원가와 부작용도 감소시켰다. 특히 연속 유기용매 제거 공정을 통해 배치(Batch)당 30~60kg 생산이 가능한 국내 최고 수준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 능력도 확보했다. 향후 글로벌 빅파마와의 공동 개발 및 기술이전 협상에서 경쟁사 대비 독보적인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투지바이오는 이노램프 플랫폼을 통해 치매, 당뇨∙비만, 수술 후 통증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치매 치료제(GB-5001)는 캐나다 임상약리 시험에서 경구용 치매 치료제 아리셉트(Aricept®) 대비 우수한 약효 지속성을 입증했다. 또 당뇨∙비만 치료제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약물 방출 특성을 확인해 타사 대비 우수한 PK(약동학) 프로파일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국내외 제약사와 공동개발 계약을 통해 상업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투지바이오 이희용 대표이사는 “지투지바이오는 고함량 탑재, 뛰어난 생체이용률, 안정적 대량생산을 겸비한 이노램프 플랫폼을 통해 약효 지속성 주사제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며 “코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약효 지속성 주사제 약물 전달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HPV는 누구나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성별 불문, 예방접종 확대돼야"
'기분 탓'이라 넘기기엔 너무 위험…양극성장애, 평균 진단까지 6년
이헌수 대표 “바이오메디앙,기술력·생체시료 분석기술 바탕 진단-치료 연결”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지투지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상장 본격화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지투지바이오,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상장 본격화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