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지난 13~14일 양일간 미국 메릴랜드에서 열린 ‘2025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 춘계 심포지엄’에 주 후원사로 참여해 자사의 글로벌 임상 전략을 공유했다고 16일 밝혔다.
KASBP 심포지엄은 미국제약‧바이오업계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신약개발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매년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개최된다. 이번 주제는 ‘임상개발의 성공 전략:규제 장벽 극복과 지속적인 혁신(Strategies For Success In Clinical Development: Overcoming Regulatory Hurdles And Driving Innovation)’이었다.
이 행사에서 GC녹십자는 ‘알리글로’의 미국 임상 및 FDA 허가 경험, 그리고현재 진행 중인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의 임상 전략를 발표했다. 특히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와 파브리병 치료제에 대한 개발전략과 임상 연구 현황을중심으로 소개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산필리포증후군은 헌터증후군과 유사한 유전성 희귀질환으로, 소아 7만명당 1명꼴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GC녹십자는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의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5년 내 글로벌 시장출시를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미약품과 공동 연구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제는 기존 정맥주사형 치료제 대비 투약 편의성을 개선한 월 1회 피하주사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임상 1/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동물 모델에서의 우수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Best-In-Class’ 시장 진입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GC녹십자는 매년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여준 차세대 재미 한국인 연구자를 선정해 ‘KASBP-GC녹십자 펠로우십상(KASBP-GC BiopharmaFellowshipAward)’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 수상자는 생물의약품 분야에 대한 잠재력과 업적, 분야에 대한 영향력 등을 고려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강진영 박사와 마운트 시나이아이칸 의과대학(ISMMS)의 이윤재 박사가 선정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마친 신수경 GC녹십자 의학본부장은 “한미 제약‧바이오 산업 간의 협력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에 참석할 수 있어 기쁘다”며 “GC녹십자는 글로벌 임상 전략을 기반으로 희귀질환 분야에서의혁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2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
3 | 경동제약, '테고프라잔' 결정형 등재특허 대법원 최종 승소 |
4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량 앞세워 '경쟁 우위' 선다 |
5 | 심평원, 약제 급여기준·신약평가 개선 속도…공단 약평위 참여 확대엔 선 그어 |
6 | 대웅제약 ‘노즈가드 스프레이’, 코 점막 보호로 호흡기 바이러스 침입 차단 |
7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서 암치료 실패 원인 규명 |
8 |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
9 | 심평원, 고가약 성과평가 체계화…"근거 불확실성 관리·제도 완성 집중" |
1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인터펙스 위크 도쿄서 CDMO 파트너십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지난 13~14일 양일간 미국 메릴랜드에서 열린 ‘2025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 춘계 심포지엄’에 주 후원사로 참여해 자사의 글로벌 임상 전략을 공유했다고 16일 밝혔다.
KASBP 심포지엄은 미국제약‧바이오업계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신약개발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매년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개최된다. 이번 주제는 ‘임상개발의 성공 전략:규제 장벽 극복과 지속적인 혁신(Strategies For Success In Clinical Development: Overcoming Regulatory Hurdles And Driving Innovation)’이었다.
이 행사에서 GC녹십자는 ‘알리글로’의 미국 임상 및 FDA 허가 경험, 그리고현재 진행 중인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의 임상 전략를 발표했다. 특히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와 파브리병 치료제에 대한 개발전략과 임상 연구 현황을중심으로 소개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산필리포증후군은 헌터증후군과 유사한 유전성 희귀질환으로, 소아 7만명당 1명꼴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GC녹십자는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의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5년 내 글로벌 시장출시를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미약품과 공동 연구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제는 기존 정맥주사형 치료제 대비 투약 편의성을 개선한 월 1회 피하주사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임상 1/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동물 모델에서의 우수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Best-In-Class’ 시장 진입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GC녹십자는 매년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여준 차세대 재미 한국인 연구자를 선정해 ‘KASBP-GC녹십자 펠로우십상(KASBP-GC BiopharmaFellowshipAward)’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 수상자는 생물의약품 분야에 대한 잠재력과 업적, 분야에 대한 영향력 등을 고려해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강진영 박사와 마운트 시나이아이칸 의과대학(ISMMS)의 이윤재 박사가 선정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마친 신수경 GC녹십자 의학본부장은 “한미 제약‧바이오 산업 간의 협력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에 참석할 수 있어 기쁘다”며 “GC녹십자는 글로벌 임상 전략을 기반으로 희귀질환 분야에서의혁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