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피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 신신제약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4.5% 증가한 13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 187.7% 성장한 253억원, 10억원을 기록했다.
신신제약은 주력 제품과 신사업인 건강기능식품 제품 판매가 동반 상승하면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 경피 약물전달 체계(TDDS) 기술 기반 아렉스, 노스엣 등 핵심 라인업 판매량은 국내 고령화로 지속 확대되고 있다. 차별화된 의약품 판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자체 건기식 브랜드 ‘신신HL’ 제품 공급도 본격화해 관련 매출도 성장했다.
신신제약은 외형성장 뿐 아니라 수익성 제고에도 성공했다. 지난 2019년 세종공장 준공 후 첩부제 등 제품을 생산하면서 공정을 고도화해 생산효율 증가 및 이익률 극대화를 시현했다. 특히 신신제약은 신성장동력인 신약, 마이크로니들 개발로 연구개발비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증가했음에도 이익률이 급증했다.
신신제약은 마이크로니들 의약품을 기반으로 추가 성장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위한 비임상을 마치고 관련 서류 제출을 완료했다. 신신제약은 허가 획득 후 보유 네트워크를 활용, 신속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신신제약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고령 환자에 대한 브랜드 프리미엄 및 차별화된 유통망을 바탕으로 본원사업 실적 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첩부제뿐 아니라 올해부터 다년간 준비해온 건기식 사업 본격화로 추가 매출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종 공장 공정 자동화를 통한 원가율 최소화로 매출과 이익 동반 성장을 시현하겠다”며 “본원사업이 안정적 캐시카우 역할을 하면서 마이크로니들, 신약 등 신성장동력 확보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2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
3 | 경동제약, '테고프라잔' 결정형 등재특허 대법원 최종 승소 |
4 | 심평원, 약제 급여기준·신약평가 개선 속도…공단 약평위 참여 확대엔 선 그어 |
5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량 앞세워 '경쟁 우위' 선다 |
6 | 대웅제약 ‘노즈가드 스프레이’, 코 점막 보호로 호흡기 바이러스 침입 차단 |
7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서 암치료 실패 원인 규명 |
8 |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
9 | 심평원, 고가약 성과평가 체계화…"근거 불확실성 관리·제도 완성 집중" |
1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인터펙스 위크 도쿄서 CDMO 파트너십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경피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 신신제약은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4.5% 증가한 13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 187.7% 성장한 253억원, 10억원을 기록했다.
신신제약은 주력 제품과 신사업인 건강기능식품 제품 판매가 동반 상승하면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 경피 약물전달 체계(TDDS) 기술 기반 아렉스, 노스엣 등 핵심 라인업 판매량은 국내 고령화로 지속 확대되고 있다. 차별화된 의약품 판매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자체 건기식 브랜드 ‘신신HL’ 제품 공급도 본격화해 관련 매출도 성장했다.
신신제약은 외형성장 뿐 아니라 수익성 제고에도 성공했다. 지난 2019년 세종공장 준공 후 첩부제 등 제품을 생산하면서 공정을 고도화해 생산효율 증가 및 이익률 극대화를 시현했다. 특히 신신제약은 신성장동력인 신약, 마이크로니들 개발로 연구개발비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증가했음에도 이익률이 급증했다.
신신제약은 마이크로니들 의약품을 기반으로 추가 성장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위한 비임상을 마치고 관련 서류 제출을 완료했다. 신신제약은 허가 획득 후 보유 네트워크를 활용, 신속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신신제약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고령 환자에 대한 브랜드 프리미엄 및 차별화된 유통망을 바탕으로 본원사업 실적 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있다”며 “첩부제뿐 아니라 올해부터 다년간 준비해온 건기식 사업 본격화로 추가 매출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종 공장 공정 자동화를 통한 원가율 최소화로 매출과 이익 동반 성장을 시현하겠다”며 “본원사업이 안정적 캐시카우 역할을 하면서 마이크로니들, 신약 등 신성장동력 확보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