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마켓 2033년 2,685.5억弗 규모로 날갯짓
2024년 1,606.2억弗 규모서 연평균 5.87% “치킨 런”
입력 2025.03.24 16:44 수정 2025.03.24 16:4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글로벌 닭고기 마켓이 지난해의 1,606억2,000달러 규모에서 오는 2033년에 이르면 2,685억5,000만 달러 사이즈로 크게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됐다.

이 시장이 2025년부터 오는 2033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연평균 5.87%의 준수한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아일랜드 더블린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마켓은 20일 공개한 ‘닭고기 시장: 시장규모와 마켓셰어 분석 - 성장 트렌드와 2025~2033년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을 원하는 수요의 확대와 함께 건강을 중시하면서 살코기를 선호하기에 이른 추세, 패스트 푸드 및 퀵-서비스 레스토랑(QSRs) 부문의 성장, 도시화, 가금류 사육방법의 개선, 가공‧즉석 치킨 식품의 대중적인 인기확산 등의 추세가 글로벌 닭고기 시장이 볼륨을 확대해 나가는 데 힘을 보탤 요인들로 손꼽혔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닭고기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육류의 하나여서 단백질 함량 뿐 아니라 가성비와 적응성(adaptability) 또한 높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지방 함량이 낮은 반면 철분, 인(燐), 비타민B6 및 비타민B12 등의 필수 영양소 함량은 높기 때문에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단연 빈도높게 선택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닭고기는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는 데다 몸통살(whole), 가슴살, 넓적다리살, 날갯살 등이 다양한 방법들로 조리될 수 있다는 장점이 눈에 띈다.

게다가 가금류는 패스트 푸드 부문과 즉석식품, 글로벌 외식업계 체인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 수요가 빠르게 확대됨에 따라 대중적인 인기 또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폭넓게 가금류가 각광받고 있는 이유로 사육방법 개선의 결과라는 점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빼놓지 않고 언급했다.

뒤이어 보고서는 닭고기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요인들을 짚고 넘어갔다.

예를 들면 합리적인 가격과 고단백 식품의 인기 상승, 닭고기가 쇠고기나 돼지고기보다 한결 경제적인 대안이라는 점 등을 손꼽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서 지방 함량은 낮다는 장점에 힘입어 닭고기가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선호도를 한몸에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즉석식품과 패스트 푸드 체인업계의 확대가 수요증가에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인구확대, 공급망 향상, 닭고기 생산의 기술적 개발 등도 접근성과 가성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는 요인들로 보고서는 열거했다.

이밖에도 닭고기 시장의 볼륨성장을 촉진하고 있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단백질 수요의 확대를 언급했다.

가격이 합리적이면서 품질높은 단백질의 공급원이라는 점이 개발도상국가들을 중심으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크게 어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단백질,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는 장점은 닭고기가 빈도높게 선택되고 있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닭고기는 세계 각국에서 최고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더욱 탄탄한 지위를 확보하기에 이르렀다고 보고서는 단언했다.

가금류 사육방법의 개발 측면 또한 닭고기 시장의 확대를 견인하고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사육방법, 사료, 질병 억제 등의 향상에 힘입어 생산성이 개선되고 있고, 생산비용을 감소하면서 품질높은 육류의 생산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발빠른 성장주기 또한 이 같은 사육방법의 개선 덕분에 더욱 안정된 닭고기 공급을 가능케 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수용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산출량의 증가와 가격인하, 육류의 품질향상 등이 맞물리면서 닭고기 업계가 이익을 얻고 있고, 자연스럽게 세계 각국의 소비자들에게 닭고기가 보다 지속가능하고 합리적인 가격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했다는 평가이다.

닭고기 시장이 퀵-서비스 레스토랑과 패스트 푸드 업계의 성장에 힘입은 바 크다는 점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시선을 돌렸다.

프라이드 치킨, 치킨 샌드위치, 치킨 너깃 등의 닭고기 기반 메뉴들이 퀵-서비스 레스토랑 업계에서 주류(主流) 메뉴로 자리매김한 현실은 소비자들이 간편하고 빠르게 주문해 섭취할 수 있는 메뉴를 선호하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음식배달 서비스와 글로벌 패스트 푸드 프랜차이즈업계의 인기확대 추세도 닭고기 시장의 확대에 또 다른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상기시켰다.

한편 보고서는 동물복지(animal welfare)에 대한 우려가 가금류 업계에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로 똬리를 틀고 있는 현실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켰다.

공장형 사육과 과밀집 사육, 비인도적인 처리 등이 윤리적인 사육방법을 원하는 소비자들로부터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한층 더 엄격한 규제와 생산비용의 상승이 동물보호단체들의 압력과 소비자들의 취향이 윤리적인 육류 생산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에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 같은 기준을 생산자들이 이익을 확보하면서 충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 때문에 동물복지를 외면하는 문제가 개별 브랜드의 명성과 마켓셰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로 부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식물성 대체식품이 닭고기 시장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갔다.

식물성 닭고기 대체식품들이 갈수록 호응을 얻으면서 윤리적이고, 친환적이고,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한몸에 받기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대안들은 크루얼티-프리(cruelty-free), 지속가능성,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고객들의 증가 추세 등에 힘업어 조명이 쏠리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혁신적인 식물성 대안들이 전통적인 닭고기 시장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부각되면서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을 원하는 수요가 높은 지역들을 중심으로 갈수록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추세는 시장확대와 소비자들의 닭고기 섭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면역항암제, 폐암 치료 성적 높이는 신호탄 되나?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닭고기 마켓 2033년 2,685.5억弗 규모로 날갯짓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닭고기 마켓 2033년 2,685.5억弗 규모로 날갯짓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