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표준희 부원장 “인재 양성부터 데이터 활용까지…산학연 협력 확대”
입력 2025.02.26 06:00 수정 2025.02.26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표준희 부원장. ©약업닷컴

인공지능(AI)이 신약 개발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은 가운데국내 연구기관 역시 AI 기반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산하 AI신약융합연구원 표준희 부원장(원장부원장)24일 협회 2 M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신약 개발을 위한 정책 대응과 연구 방향을 공유하며 우리나라 경쟁력 강화 전략을 소개했다.

표준희 부원장은 "현재 AI 신약개발 자문위원회전문위원회협의회를 운영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최신 성과를 공유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다" "산학연병 전문가 18인과 22개 제약기업, 40여개 AI 신약 개발 스타트업과도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이를 통해 연구 협력네트워크 구축공동 연구 수행 등을 활발하게 진행 중이라는 설명이다.

AI 신약 개발을 위한 인재 양성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표준희 부원장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 라이드를 기반으로 실습 및 코딩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AI 신약 개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멘토링 프로젝트부트캠프교재 개발 등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해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를 개최하며 AI 신약 개발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신약 개발 분야의 적극적인 투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표준희 부원장은 "구글,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은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AI 기반 신약 개발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 데이터 전문 인력과 컴퓨팅 자원 인프라가 부족해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즉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표 부원장은 "정부와 지속적인 협력으로 AI 신약 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고국내 기업들이 신속하게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신약 개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가상 AI 신약 연구소 구축도 추진 중이다제약사와 AI 전문가들이 협업할 수 있는 가상 AI 신약 연구소를 구축해 기업을 지원하고, AI 연구원의 역할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실험 데이터 및 연구자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AI 모델을 지속 개선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중요성하다고 전했다표 부원장은 "데이터 기반 가설 생성 및 검증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신약 개발 현장에서 필요한 데이터 접근성과 파트너십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 신약 개발이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신약 개발의 연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협업 기반의 연구 과제 기획도 진행 중이다표 부원장은 "빠른 신기술 도입과 확산을 위해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이를 위해 산업계 공동의 기반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협력 연구도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업무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상시인력이 기존에 비해 다소 적어보이나, 앞으로 프로젝트 베이스로 고용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표 부원장은 외부 자문위원전문가 등 활용할 수 있는 인력 풀이 다양하고 방대하다외부 자문위원들로부터 상시 자문을 받을 수 있고외부 전문가를 통한 프로젝트 업무 수행을 주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또 유연하고 다양한 고용방식으로 관련 업무들을 차질 없이 수행해나가고 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AI 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정책 연구 및 제안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표 부원장은 "현장 의견을 수렴해 AI 신약 개발 지원 정책을 연구하고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AI 신약 개발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표준희 부원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