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바이오메딕스(공동대표: 강세일 김동욱)는 망막손상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특허(발명의 명칭: 줄기세포로부터 망막외곽층세포의 유도 생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가 일본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망막 주요 구성 세포이며 손상 시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망막색소상피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RPE)와 시각세포 (Photoreceptor cell)를 동시에 만들어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와 같은 전분화능줄기세포로부터 두 가지 세포를 분화 및 생산 가능하다. 이번 일본 특허 등록결정과 더불어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캐나다, 중국, 러시아, 호주, 인도, 홍콩 등에서 등록 심사가 진행 중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에 따르면 회사 기술은 망막색소상피세포 이외 시각세포도 동시에 분화 및 생산이 가능한 기술로 망막손상 치료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주요 구성세포들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들과 차별화된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파킨슨병, 척수손상, 중증하지허혈 등 난치성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으로, 향후 글로벌 임상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역량을 넓히기 위한 전략을 실행 중이다. 이번에 등록 결정된 기술은 기존 파이프라인들에 감각계질환 파이프라인을 추가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사업분야 및 시장성을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 연구소장인 조명수 박사는 “현재의 기술을 바탕으로 3D 및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을 접목해 보다 차별화되고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개발되는 기술은 글로벌지적 재산권 권리확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2 | 에이비엘바이오, 'ABL103' 고형암 타깃 임상 1b/2상 추가 신청서 제출 |
3 | 노바티스, 엔트레스토 특허만료 앞두고 美 본사 직원 427명 감원 |
4 |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FDA ‘희귀의약품’ 지정 |
5 | 메디컬아이피, 비전프로로 보는 3D 인체…GTC서 첫 공개 |
6 |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의대생...한의협 "한의사 활용이 답" |
7 | 대웅제약,국내 첫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 출시…골다공증 시장 공략 |
8 | 최광훈 대한약사회 총회의장, 부의장에 한훈섭-최미영 선임 |
9 |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제제 허가신청 FDA 접수 |
10 | 에이인비, GTC 콘퍼런스서 AI 기반 항체 신약 연구 성과 발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에스바이오메딕스(공동대표: 강세일 김동욱)는 망막손상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특허(발명의 명칭: 줄기세포로부터 망막외곽층세포의 유도 생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가 일본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망막 주요 구성 세포이며 손상 시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망막색소상피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RPE)와 시각세포 (Photoreceptor cell)를 동시에 만들어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와 같은 전분화능줄기세포로부터 두 가지 세포를 분화 및 생산 가능하다. 이번 일본 특허 등록결정과 더불어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캐나다, 중국, 러시아, 호주, 인도, 홍콩 등에서 등록 심사가 진행 중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에 따르면 회사 기술은 망막색소상피세포 이외 시각세포도 동시에 분화 및 생산이 가능한 기술로 망막손상 치료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주요 구성세포들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들과 차별화된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파킨슨병, 척수손상, 중증하지허혈 등 난치성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으로, 향후 글로벌 임상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역량을 넓히기 위한 전략을 실행 중이다. 이번에 등록 결정된 기술은 기존 파이프라인들에 감각계질환 파이프라인을 추가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사업분야 및 시장성을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 연구소장인 조명수 박사는 “현재의 기술을 바탕으로 3D 및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을 접목해 보다 차별화되고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개발되는 기술은 글로벌지적 재산권 권리확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