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18~29세 연령대 Z세대 소비자들 가운데 34%가 내년에 K-뷰티 스킨케어 제품들을 시연해 볼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l explore)
이와 함께 18~29세 연령대에 속하는 스킨케어 마니아(enthusiast)들의 61%는 화장하지 않은 맨얼굴로 집 밖에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시장조사기관 유고브(YouGov)는 17일 공개한 ‘안면 가치: 2025년 미국 스킨케어 쇼핑객 파헤치기’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Z세대 소비자들의 스킨케어 습관과 화장하기를 바라보는 태도, 제품 발굴 채널, 소비팬턴 및 브랜드 선호도 등을 조명한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스킨케어 마니아들은 최근 3개월 동안 각종 뷰티‧헬스 제품들을 구매하기 위해 평균 84달러를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84달러라면 전체 연령대 평균치로 산출된 금액보다 26달러가 많은 액수이다.
이들이 뷰티‧헬스 제품들을 주로 구매하는 경로로는 아마존 57%, 월마트 43%, 타깃 31%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또 미국의 전체 연령대 스킨케어 소비자들이 구매를 고려하는 톱 브랜드들의 랭킹(brand consideration ranking)을 집계한 후 공개해 관심이 쏠리게 했다.
이에 따르면 ‘도브’가 53.1%로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바세린’(Vaseline‧38.5%), ‘올레이’(Olay‧34.9%) 및 ‘뉴트로지나’(34.6%)의 순으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니베아’의 경우 이 수치가 지난해의 24.8%에서 올해 30.4%로 뛰어오르면서 2024년 한해 동안 가장 많이 뛰어오른 브랜드로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할 때 가장 많이 살펴보는 요인들을 보면 보습이 56%로 가장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뒤이어 클렌징 50%,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44%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18~29세 연령대 Z세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클렌징을 1위로 꼽아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들이 새로운 스킨케어 제품을 발굴하는 경로를 보면 입소문이 38%로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TV 광고 22%, 소셜 미디어 광고 21% 순으로 파악됐다.
새로운 스킨케어 트렌드 전망과 관련, 33%의 소비자들은 내년에 비타민C가 함유된 제품들의 시연을 고려 중이라고 답해 주목할 만해 보였다.
이와 함께 클린 뷰티 32%, 히알루론산 함유제품 29%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물음에 내놓은 답변으로 눈길을 돌려보면 천연물 원료 41%, 동물실험 배제 37%, 재활용 패키징 20% 등이 ‘톱 3’ 고려요인들로 언급됐다.
유고브 미국법인의 얘슐리 브라운 회계담당이사는 “Z세대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노하우를 매우 중시하는 데다 그들이 선택하는 브랜드들에 대해 상당한 안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은 신제품을 시연해 보는 데 열린 마인드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친구, 소셜 미디어 광고 또는 인플루언서들에 의해 이끌려 최신 트렌드에 빠져들 수 있는 소비자 그룹”이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3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4 | 트럼프 DEI 철폐 움직임에 글로벌 제약사도 '흔들' |
5 | ‘레즈디프라’ 열풍, MASH 신약 승인 가속화하나 |
6 |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장, 경선 통해 '연임' 성공 |
7 | 티움바이오,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한 NCE401 '계약 해지' |
8 | [기업분석] 아스테라시스 2024년 매출 288억…전년比 64.8%↑ |
9 | 사노피, 표적 이중특이성 골수세포 관여자 인수 |
10 | 中 1~2월 화장품 소매 판매 4.4%↑… 소비재 평균 수준 회복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미국의 18~29세 연령대 Z세대 소비자들 가운데 34%가 내년에 K-뷰티 스킨케어 제품들을 시연해 볼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l explore)
이와 함께 18~29세 연령대에 속하는 스킨케어 마니아(enthusiast)들의 61%는 화장하지 않은 맨얼굴로 집 밖에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시장조사기관 유고브(YouGov)는 17일 공개한 ‘안면 가치: 2025년 미국 스킨케어 쇼핑객 파헤치기’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Z세대 소비자들의 스킨케어 습관과 화장하기를 바라보는 태도, 제품 발굴 채널, 소비팬턴 및 브랜드 선호도 등을 조명한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스킨케어 마니아들은 최근 3개월 동안 각종 뷰티‧헬스 제품들을 구매하기 위해 평균 84달러를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84달러라면 전체 연령대 평균치로 산출된 금액보다 26달러가 많은 액수이다.
이들이 뷰티‧헬스 제품들을 주로 구매하는 경로로는 아마존 57%, 월마트 43%, 타깃 31%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또 미국의 전체 연령대 스킨케어 소비자들이 구매를 고려하는 톱 브랜드들의 랭킹(brand consideration ranking)을 집계한 후 공개해 관심이 쏠리게 했다.
이에 따르면 ‘도브’가 53.1%로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바세린’(Vaseline‧38.5%), ‘올레이’(Olay‧34.9%) 및 ‘뉴트로지나’(34.6%)의 순으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니베아’의 경우 이 수치가 지난해의 24.8%에서 올해 30.4%로 뛰어오르면서 2024년 한해 동안 가장 많이 뛰어오른 브랜드로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할 때 가장 많이 살펴보는 요인들을 보면 보습이 56%로 가장 높은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뒤이어 클렌징 50%,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44%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18~29세 연령대 Z세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클렌징을 1위로 꼽아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들이 새로운 스킨케어 제품을 발굴하는 경로를 보면 입소문이 38%로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TV 광고 22%, 소셜 미디어 광고 21% 순으로 파악됐다.
새로운 스킨케어 트렌드 전망과 관련, 33%의 소비자들은 내년에 비타민C가 함유된 제품들의 시연을 고려 중이라고 답해 주목할 만해 보였다.
이와 함께 클린 뷰티 32%, 히알루론산 함유제품 29%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물음에 내놓은 답변으로 눈길을 돌려보면 천연물 원료 41%, 동물실험 배제 37%, 재활용 패키징 20% 등이 ‘톱 3’ 고려요인들로 언급됐다.
유고브 미국법인의 얘슐리 브라운 회계담당이사는 “Z세대 소비자들이 스킨케어 노하우를 매우 중시하는 데다 그들이 선택하는 브랜드들에 대해 상당한 안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들은 신제품을 시연해 보는 데 열린 마인드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친구, 소셜 미디어 광고 또는 인플루언서들에 의해 이끌려 최신 트렌드에 빠져들 수 있는 소비자 그룹”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