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가 28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2024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에서 보건복지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은 보건의료분야에 우수한 성과가 있는 연구자 및 보건산업 육성 진흥에 공적이 있는 사람을 발굴해 △신진연구 부문 △우수연구 부문 △우수개발 부문 △육성·진흥 부문에서 유공자를 선정하고 있다.
교수는 보건복지부 R&D 분야에서 우수연구자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신진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이는 지난 10여 년간 당뇨병 및 대사질환 분야 연구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은 것이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임신당뇨병 산모의 당뇨병 발병 기전 및 예방 △지방간의 심뇌혈관 발생·사망 및 근감소증과 연관성 규명 △임신당뇨병이 태아의 질환 위험 발생에 미치는 연구 등이다. 문 교수는 대사질환분야 저서 및 SCI 논문을 50여편 집필했고 다수의 국책연구를 수행하면서 대사분야 기초·중개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문준호 교수는 “지난 10여 년간 임신당뇨병 등 대사질환 연구로 보건의료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대사질환 분야 기초·중개 연구로 임신당뇨병의 병인을 규명하고 치료 방법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준호 교수는 대한당뇨병학회 청년임신당뇨병TFT 및 언론홍보위원, 임신당뇨병연구회 간사, 에너지대사연구회 간사,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 기초위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기획센터 실무교수 등을 맡아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고있다. 이번 시상은 보건복지부 주최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열렸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3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4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5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6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7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8 | 네추럴라이즈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맥스’ 출시 |
9 | "2025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선정…AI 유전자편집·항노화 항체 등" |
10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분당서울대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가 28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2024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에서 보건복지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은 보건의료분야에 우수한 성과가 있는 연구자 및 보건산업 육성 진흥에 공적이 있는 사람을 발굴해 △신진연구 부문 △우수연구 부문 △우수개발 부문 △육성·진흥 부문에서 유공자를 선정하고 있다.
교수는 보건복지부 R&D 분야에서 우수연구자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신진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이는 지난 10여 년간 당뇨병 및 대사질환 분야 연구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은 것이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임신당뇨병 산모의 당뇨병 발병 기전 및 예방 △지방간의 심뇌혈관 발생·사망 및 근감소증과 연관성 규명 △임신당뇨병이 태아의 질환 위험 발생에 미치는 연구 등이다. 문 교수는 대사질환분야 저서 및 SCI 논문을 50여편 집필했고 다수의 국책연구를 수행하면서 대사분야 기초·중개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문준호 교수는 “지난 10여 년간 임신당뇨병 등 대사질환 연구로 보건의료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대사질환 분야 기초·중개 연구로 임신당뇨병의 병인을 규명하고 치료 방법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준호 교수는 대한당뇨병학회 청년임신당뇨병TFT 및 언론홍보위원, 임신당뇨병연구회 간사, 에너지대사연구회 간사,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 기초위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기획센터 실무교수 등을 맡아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고있다. 이번 시상은 보건복지부 주최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