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글로벌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ʼ 착수보고회 개최
희귀·난치질환의 환자맞춤형 치료제 개발로 국민 복지 증진과 웰에이징 실현
입력 2024.11.22 10:0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협력체계.©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이하 생명연)은 22(금) 대전 본원에서 김장성 원장을 비롯한 한국화학연구원 이영국 원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연규 부원장 등 주관 기관장과 관련 연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현판식과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연구 활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유전자 및 세포 기반의 차세대 유전자치료제는 한 번의 투약으로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해 기존 신약의 한계점을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어 글로벌 제약시장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차세대 유전자치료제 분야의 신시장을 조기에 선점하기 위하여 로열티 없는 차세대 유전자·세포치료제 핵심 원천기술 확보와 함께 임상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여 산업계로 연계하는 국가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글로벌 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은 과기정통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정부출연 연구기관 간 칸막이를 없애고 개방형 협력으로 국가 전략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6월 선정한 5개의 '글로벌 TOP 전력연구단' 중 하나로, 유전자·세포치료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원천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공공 R&BD 플랫폼을 구축하여 민간기업의 첨단의약품 개발 가속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희귀·난치질환의 환자맞춤형 치료제 개발로 국민 복지를 향상시키고 국내 바이오산업의 기술적 공백을 해소하여 웰에이징(Well-Aging) 시대의 실현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과 유기합성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 등을 위해 올해부터 5년간 총 850억원 규모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생명연 정경숙 단장이 총괄 주관하고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비롯한 대학과 병원, 기업들이 협력해 참여한다.

생명연 김장성 원장은 “희귀·난치질환의 유전자치료제 상용화를 통해 국가적 대형 성과를 창출하고, 공백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TOP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 정경숙 단장은 “희귀 난치질환의 난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민 행복과 바이오경제에 이바지하는 유전자 세포치료 전문연구단을 만들겠다”라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생명연, '글로벌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ʼ 착수보고회 개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생명연, '글로벌 유전자·세포치료 전문연구단ʼ 착수보고회 개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