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가 안과치료제 전문기업 한림제약(대표이사 김정진), 한림제약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상명이노베이션(대표이사 박진하),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 쿼드메디슨(대표이사 백승기)과 신약 개발을 위한 물질이전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을 통해 네오켄바이오는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와 대마 유래 엑소좀 및 대마 유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를 3사에 제공한다. 각 회사들은 네오켄바이오가 제공한 이전 물질을 통해 경피 약물 전달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기반 기능성 화장품 및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및 신생혈관 관련 안구 내 질환 치료를 위한 안구이식제 개발에 공동으로 나설 계획이다.
네오켄바이오는 원료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칸나비디올(CBD)을 활용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완제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헴프 유래 천연 칸나비노이드와 유도체 합성 및 대사 산물까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써 신규 효능 발굴, 함량 검사법 서비스 및 원료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여러 국가에서 의료용 헴프 산업을 합법화하는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대마 유래 칸나비노이드를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00개 이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또 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네오켄바이오 함정엽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 칸나비노이드 라이브러리 보유 및 고품질 대량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제약회사 및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칸나비노이드 신약 개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대마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규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대마 세계 시장 규모는 2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의료용 대마 시장 경우 연평균 22.1% 성장해 2024년 5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10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네오켄바이오(대표이사 함정엽)가 안과치료제 전문기업 한림제약(대표이사 김정진), 한림제약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상명이노베이션(대표이사 박진하),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전문기업 쿼드메디슨(대표이사 백승기)과 신약 개발을 위한 물질이전계약(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을 통해 네오켄바이오는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와 대마 유래 엑소좀 및 대마 유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를 3사에 제공한다. 각 회사들은 네오켄바이오가 제공한 이전 물질을 통해 경피 약물 전달 기술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기반 기능성 화장품 및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 및 신생혈관 관련 안구 내 질환 치료를 위한 안구이식제 개발에 공동으로 나설 계획이다.
네오켄바이오는 원료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칸나비디올(CBD)을 활용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완제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헴프 유래 천연 칸나비노이드와 유도체 합성 및 대사 산물까지 광범위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써 신규 효능 발굴, 함량 검사법 서비스 및 원료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여러 국가에서 의료용 헴프 산업을 합법화하는 추세다. 전세계적으로 대마 유래 칸나비노이드를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00개 이상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또 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네오켄바이오 함정엽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 칸나비노이드 라이브러리 보유 및 고품질 대량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제약회사 및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칸나비노이드 신약 개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대마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국내외 규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대마 세계 시장 규모는 20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의료용 대마 시장 경우 연평균 22.1% 성장해 2024년 5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