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회장 차석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4년 2분기 매출액 954억원, 영업이익 424억원, 당기순이익 37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7%, 영업이익은 51.6%, 당기순이익은 72.7% 급증한 수치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각각 900억원, 400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태국, 일본, 대만, 호주 등 주요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지역에서 매출이 급성장했다.
중국 시장에 역대 최대 규모로 제품이 선적되는 등 2분기 해외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늘었다.
HA필러(더채움, 바이리즌 스킨부스터 HA)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뤘다. 국내에서 신규 광고 캠페인을 전개하고 해외 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학술 마케팅 활동을 지속한 결과,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ㆍ북남미ㆍ유럽 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르게 신장했다.
화장품 분야 매출 역시 10% 이상 증가했다.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웰라쥬’의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고, 하이엔드 코스메틱 브랜드 ‘바이리즌 BR’을 론칭하는 등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혀가고 있다.
휴젤은 이번 하반기에도 해외 시장 확대에 주력한다. 7월 말 실시한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의 미국 시장 초도 물량 선적을 시작으로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국내 및 주요 해외 시장 KOL(Key Opinion Leader)을 대상으로 다양한 영업ㆍ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며 휴젤 기업과 제품력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에서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휴젤 관계자는 “이번 2분기에는 톡신·필러 등 휴젤 대표 품목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전방위적으로 성장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경신했다”며 “미국은 물론 아시아 태평양·유럽 등 휴젤이 진출한 국가에서 입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현지 상황에 맞춘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78.30%-코스닥 67.38% |
2 | 고려은단 '멀티비타민 올인원' 일부 제품 표시 기준 허용치 초과 회수 |
3 | 동성제약, 최대주주 이양구 외 5인에서 변경 |
4 | 상장 화장품 기업 2024년 지배지분순익 평균 316억…전년비 70.0% ↑ |
5 | "신약 개발, 초기단계부터 QbD 필수...플랫폼 기반 접근도 추천" |
6 | "CMC는 전략이자 핵심 축" FDA 출신 박준태 박사가 전하는 신약개발 전략 |
7 | 오스코텍,AXL 저해제 'SKI-G-801' 임상1상 CSR 수령 |
8 | 종근당,2형 당뇨병 치료제 2종 품목허가 신청 |
9 | 리제네론, 미국 생물의약품 제조 확대 30억 달러 투자 |
10 | K-뷰티 브랜드, 아마존 뷰티 '베스트셀러'에 3개 진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휴젤(회장 차석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4년 2분기 매출액 954억원, 영업이익 424억원, 당기순이익 37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7%, 영업이익은 51.6%, 당기순이익은 72.7% 급증한 수치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각각 900억원, 400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 태국, 일본, 대만, 호주 등 주요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지역에서 매출이 급성장했다.
중국 시장에 역대 최대 규모로 제품이 선적되는 등 2분기 해외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 늘었다.
HA필러(더채움, 바이리즌 스킨부스터 HA)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뤘다. 국내에서 신규 광고 캠페인을 전개하고 해외 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학술 마케팅 활동을 지속한 결과,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 태평양ㆍ북남미ㆍ유럽 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르게 신장했다.
화장품 분야 매출 역시 10% 이상 증가했다.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웰라쥬’의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고, 하이엔드 코스메틱 브랜드 ‘바이리즌 BR’을 론칭하는 등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혀가고 있다.
휴젤은 이번 하반기에도 해외 시장 확대에 주력한다. 7월 말 실시한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의 미국 시장 초도 물량 선적을 시작으로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국내 및 주요 해외 시장 KOL(Key Opinion Leader)을 대상으로 다양한 영업ㆍ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며 휴젤 기업과 제품력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에서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휴젤 관계자는 “이번 2분기에는 톡신·필러 등 휴젤 대표 품목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전방위적으로 성장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경신했다”며 “미국은 물론 아시아 태평양·유럽 등 휴젤이 진출한 국가에서 입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현지 상황에 맞춘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