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가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이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주요 신장병 증상들과 심혈관계 증상, 총 사망률 등을 괄목할 만하게 감소시켜 준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UNSW) 의과대학의 블라도 페르코비치 교수는 23~26일 스웨덴 스혹홀름에서 열린 제 61차 유럽 신장병협회(ERA) 학술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FLOW(Evaluate Renal Funciton with Semaglutide Once Weekly) 시험’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시험은 총 3,533명의 2형 당뇨병 및 만성 신장병 동반환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중맹검법, 피험자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 글로벌 시험으로 평균 3.4년에 걸친 추적조사 기간 동안 진행됐다.
‘FLOW 시험’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의 일종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1.0mg 피하주사제를 주 1회 투여하면서 주요 신장병 증상들을 예방하는 데 나타난 효능과 안전성을 플라시보 대조그룹과 비교평가하는 내용으로 설계됐다.
여기서 언급된 주요 신장병 증상들은 신부전, 신장 기능의 상당한 상실, 신장병 또는 심혈관계 원인 사망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됐다.
분석작업을 진행한 결과 ‘위고비’ 1.0mg을 주 1회 투여받은 피험자 그룹은 신장병 증상들과 신장병 또는 심혈관계 원인 사망 등이 나타난 비율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24% 낮게 나타나 주목할 만해 보였다.
이 같은 위험성 감소효과는 신장병 및 심혈관계 원인 사망 지표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났다.
아울러 ‘위고비’ 1.0mg을 주 1회 투여받은 피험자 그룹은 이차적 시험목표들 또한 괄목할 만하게 개선된 것으로 입증됐다.
전체 사구체 여과율(eGFR) 기울기를 보면 연간 1.16mL/분/1.73m²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심혈관계 제 증상 위험성이 1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총 사망률의 경우에도 ‘위고비’를 투여한 그룹에서 20% 낮게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페르코비치 교수는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 ‘위고비’를 투여했을 때 주요 신장병 증상들의 위험성 뿐 아니라 심혈관계 제 증상 위험성과 심인성 사망, 총 사망률 등도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같은 유익성은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신장과 심장, 생명을 구하는 데 괄목할 만한 임상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안전성까지 재입증되어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위고비’의 강력한 잠재적 가치에 한층 더 무게를 싣게 한다고 덧붙였다.
‘FLOW 시험’은 대학이 주도한 운영위원회가 노보 노디스크社와 함께 총괄했다.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유럽 신장병협회 학술회의 뿐 아니라 의학 학술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도 게재됐다.
한편 만성 신장병은 전 세계 환자 수가 8억명을 상회하는 가운데 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특히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형편이다.
만성 신장병은 신부전, 심혈관계 제 증상 및 사망 위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살빼려 했더니 실명 위기?… GLP-1 계열 약물 새 경고 |
2 | 에이비엘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이중항체 ADC 2건 임상 진입 확실시 |
3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4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매출총이익, 코스피 766억원‧코스닥 239억원 |
5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6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7 | 메지온,230억원 투자 유치..'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임상3상 가속 |
8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9 | 동성제약 1분기 실적 상승…영업익 ‘흑자전환’ |
10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영업이익 평균 112억…전년比 27.6%↑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비만 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가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이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주요 신장병 증상들과 심혈관계 증상, 총 사망률 등을 괄목할 만하게 감소시켜 준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UNSW) 의과대학의 블라도 페르코비치 교수는 23~26일 스웨덴 스혹홀름에서 열린 제 61차 유럽 신장병협회(ERA) 학술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FLOW(Evaluate Renal Funciton with Semaglutide Once Weekly) 시험’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시험은 총 3,533명의 2형 당뇨병 및 만성 신장병 동반환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이중맹검법, 피험자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 글로벌 시험으로 평균 3.4년에 걸친 추적조사 기간 동안 진행됐다.
‘FLOW 시험’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의 일종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1.0mg 피하주사제를 주 1회 투여하면서 주요 신장병 증상들을 예방하는 데 나타난 효능과 안전성을 플라시보 대조그룹과 비교평가하는 내용으로 설계됐다.
여기서 언급된 주요 신장병 증상들은 신부전, 신장 기능의 상당한 상실, 신장병 또는 심혈관계 원인 사망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됐다.
분석작업을 진행한 결과 ‘위고비’ 1.0mg을 주 1회 투여받은 피험자 그룹은 신장병 증상들과 신장병 또는 심혈관계 원인 사망 등이 나타난 비율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24% 낮게 나타나 주목할 만해 보였다.
이 같은 위험성 감소효과는 신장병 및 심혈관계 원인 사망 지표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났다.
아울러 ‘위고비’ 1.0mg을 주 1회 투여받은 피험자 그룹은 이차적 시험목표들 또한 괄목할 만하게 개선된 것으로 입증됐다.
전체 사구체 여과율(eGFR) 기울기를 보면 연간 1.16mL/분/1.73m²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심혈관계 제 증상 위험성이 1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총 사망률의 경우에도 ‘위고비’를 투여한 그룹에서 20% 낮게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페르코비치 교수는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 ‘위고비’를 투여했을 때 주요 신장병 증상들의 위험성 뿐 아니라 심혈관계 제 증상 위험성과 심인성 사망, 총 사망률 등도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같은 유익성은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신장과 심장, 생명을 구하는 데 괄목할 만한 임상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다가 안전성까지 재입증되어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위고비’의 강력한 잠재적 가치에 한층 더 무게를 싣게 한다고 덧붙였다.
‘FLOW 시험’은 대학이 주도한 운영위원회가 노보 노디스크社와 함께 총괄했다.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유럽 신장병협회 학술회의 뿐 아니라 의학 학술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도 게재됐다.
한편 만성 신장병은 전 세계 환자 수가 8억명을 상회하는 가운데 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특히 유병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형편이다.
만성 신장병은 신부전, 심혈관계 제 증상 및 사망 위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