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국내 CDMO 수주 2건 성공... CDMO 사업 본격 진출
임상시험용 면역세포치료제 등 중·소규모 국내 계약 통한 트랙레코드 확보, 추가 계약 논의
해외 CDMO 사업 투자, 2025년까지 캐나다에 총 면적 약 10,000㎡ 규모 연구 생산시설 증설
입력 2024.04.19 10:07 수정 2024.04.19 10:1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메디포스트(대표 오원일)는 올 들어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계약 2건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공장 가동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추가적인 계약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는 앞서 지난 2022년 말 GMP생산시설 내 CDMO 전용 클린룸 및 생산시설 등을 마련하고 CDMO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계약 두 건은  면역세포치료제 임상시험용의약품 위탁생산과 인체 제대혈 세포배양액 공급계약으로 총 금액 20억원 규모다.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고객사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메디포스트에 따르면 회사  차별화된 경쟁력은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전주기 개발 노하우 및 20년 넘는 GMP 운영을 통한 숙련된 인적자원과 풍부한 경험이다. 또 최고 수준 줄기세포 선별 및 대량 배양 기술과 다수의 협력 병원을 확보하고 있어 바이오 의약품 원료를 수급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M&A를 통해 인수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전문기업인 캐나다 옴니아바이오 (OmniaBio) 와 시너지도  강점이다. 옴니아바이오는 자가·동종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바이럴 벡터 등 다양한 공정개발 (PD: Process Development) 역량과 cGMP 시설의 생산 플랫폼 및 생산 품질의 관리와 유지를 위한 QMS (Quality Management System) 및 기타 지적재산권 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북미지역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고객사를 다수 확보하고 있다.

또 메디포스트는 CDMO 해외사업 진출 및 본격화를 위해 지난 2022년 옴니아바이오에 6천만 캐나다달러(약 600억원) 규모 전환사채 투자를 결정, 투자금으로 2025년까지 총 면적 약 10,000㎡ 규모 연구시설 및 cGMP 수준 생산시설을 증설 중이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이번 CDMO 수주는 메디포스트 노하우를 인정받아 성사된 계약으로 고무적”이라며 “현재 국내 다른 고객사와 CDMO 계약을 추가 논의 중인 만큼 CDMO 사업 부문에서 지속적인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메디포스트, 국내 CDMO 수주 2건 성공... CDMO 사업 본격 진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메디포스트, 국내 CDMO 수주 2건 성공... CDMO 사업 본격 진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