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누적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유한양행·종근당 ·GC녹십자·제일약품
코스닥은 동국제약·휴온스·테라젠이텍스·경동제약·화일약품 順
입력 2024.04.18 06:00 수정 2024.04.18 06:0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닷컴이 2024 3월 사업보고서(연결기준기준 상장 82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코스닥 41) 2023년 누적 상품매출을 분석한 결과전년대비 코스피 제약바이오사는 3.1%, 코스닥 제약바이오사는 5.0% 성장했다평균 상품 매출은 코스피 제약바이오사가 1784억원코스닥 제약바이오사가 226억원을 기록했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2023년 누적 상품매출 1위는 광동제약으로 1383억원을 기록했다전년대비 7.0% 증가했으며매출액 대비 비중은 68.6%.

2위는 유한양행으로 1106억원이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54.4%. 3위 종근당은 7105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42.6%.

4위는 GC녹십자전년대비 7.2% 증가한 580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35.7%. 5위는 제일약품. 5395억원으로 전년보다 5.7% 감소했다매출액 대비 비중 64.3%. 6위는 대웅제약. 5197억원으로 전년보다 1.8% 늘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37.8%.

7위는 JW중외제약으로 3755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50.4%. 8위는 보령으로 3605억원의 상품매출을 올렸다전년보다 매출이 그라신(쿄와기린) 36억원온베브지(삼성바이오에피스) 203억원 증가하면서 470억원(25.9%) 증가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41.9%.

9위는 일동제약으로 2925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48.7%. 10위는 한독으로 2656억원을 기록했다전년비 3.1% 역신장한 수치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50.8%. 코스피 평균 상품매출은 1784억원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누적 상품매출 관련 금액이 없었고, SK바이오팜대원제약셀트리온은 관련 내용을 공시하지 않았다.

상품매출 증가율이 전년동기 대비 가장 큰 증가한 제약사는 일성신약으로 증가율은 113.5%. GSK 항생제동아에스티 급성췌장염 치료제 등 매출이 증가하며 전년대비 41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9.8%.

2위는 SK바이오사이언스로 전년대비 92.8% 증가했다. GSK 백신 등으로 전년비 110억원이 늘었다. 3위는 경보제약으로 80.5% 성장했다완제의약품은 132억원 늘고 원료의약품은 8억원 줄며 전년대비 123억원 증가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12.8%.

4위는 삼진제약으로 41.7% 증가했다애보트 클래리시드 군과 래피드 진단 아피니온 등으로 전년비 73억원 증가했다. 5위는 환인제약으로 전년대비 40.4% 늘었다. GSK 중추신경계 등의 매출증가로 전년대비 179억원 늘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27.0%.

6~10위는 현대약품(19.0%), 삼성제약(17.5%), 일양약품(15.5%), 보령(15.0%), 파미셀(10.5%) 순이다코스피 평균 상품매출액은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이 제일 큰 제약사는 제일약품으로 전체 매출의 74.3%를 차지했다매출액은 5395억원으로 전년대비 5.7% 감소했다.

2위는 광동제약으로 68.6%를 차지했다매출액은 1383억원으로 전년대비 7.0% 늘었다.  3위는 유한양행(54.4%), 4위는 한독(50.8%), 5위는 JW중외제약(50.4%)이 차지했다.

6~10위에는 일동제약(48.7%), 영진약품(44.3%), 종근당(42.6%), 보령(41.9%), 삼일제약(41.4%)이 이름을 올렸다코스피 평균 매출 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은 29.1%.

매출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이 전년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제약사는 삼성제약으로 증가율은 5.3%p전년보다 28억원 증가했다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2위는 경보제약으로 5.0%p 증가했으며 3위는 환인제약으로 4.7%p 상승했다

4위는 GC녹십자로 4.1%p 증가했다. BMS의 바라크루드사노피아벤티스의 플라빅스 등으로 전년보다 391억원 늘었다.

5위는 일성신약으로 3.9%p 상승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9.8%.

6~10위는 SK바이오사이언스(3.6%p), 파미셀(3.1%p), 일양약품(2.5%p), 현대약품(2.5%p), 삼진제약(2.1%p) 순이었다코스피 평균 매출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은 전년 대비 0.9%p 하락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닥에서 2023년누적 상품매출액이 제일 큰 제약사는 동국제약으로 1288억원을 기록했다세부내역을 공시하지 않았으나 지배기업 258억원 증가로 전년보다 293억원 늘었다

2위는 휴온스로 1077억원을 기록했다전년대비 14.5%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5%. 3위는 테라젠이텍스로 전년대비 1.6% 감소한 855억원의 매출을 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38.6%.

4위는 경동제약 771억원전년대비 31.4% 감소한 액수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47.4%. 5위는 화일약품으로 611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49.8%

6위는 대한뉴팜으로 595억원매출액 대비 비중은 29.1%. 7위는 JW신약으로 전년대비 31.8% 증가한 450억원의 상품매출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43.1%. 갈더마 엘크라넬 등으로 전년보다 108억원 증가했다.

8위는 휴메딕스로 36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내수(58억원)가 상승하면서 전년 대비 58억원이 증가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24.0%.  9위는 신신제약으로 356억원을 기록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34.7%.

10위는 파마리서치로 303억원이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11.6%. 코스닥 평균 상품매출은 226억원이다.

대한약품케어젠은 2023년 누적 상품 매출 관련 금액이 없었다. HK이노엔은 관련 내용을 공시하지 않았다

상품매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가장 큰 제약사는 엔지켐생명과학으로 3763.8% 성장했다바이오유지부문 70억원 신규 매출이 발생하며 전년대비 72억원 늘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9.7%.

2위는 엘앤씨바이오로 증가율은 90.3%. 엘앤씨메디케어(종속기업) 36억원 신규 매출로 전년보다 24억원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7.4%. 3위는 아이큐어로 증가율은 77.8%. 종속기업 등 21억원 증가로 전년대비 21억원 증가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8.3%.

4위는 진양제약으로 증가율은 52.2%. 내수가 24억원 증가했다매출액 대비 비중은 7.4%. 5위는 JW신약으로 증가율은 31.8%이며 매출액대비 비중은 43.1%.

6 ~10위에는 동국제약(29.4%), 휴메딕스(19.0%), 휴온스(14.5%), 고려제약(11.2%), 신신제약(9.1%)이 이름을 올렸다코스닥 평균 상품매출은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 1위는 화일약품으로 49.8%를 기록했다전년동기 대비 5.4%p 상승했다.

2위는 경동제약으로 47.4%. 전년동기 대비 6.3%p 감소했다. 3위는 한국유니온제약의 44.5%로 전년동기 대비 6.3%p 하락했다. 4위는 JW신약으로 43.1%. 5위는 테라젠이텍스로 38.6%를 기록했다.

6~10위는 신신제약(34.7%), 대한뉴팜(29.1%), 고려제약(26.3%). 조아제약(24.2%), 휴메딕스(24.0%) 순이었다코스닥 평균 매출 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은 13.1%.

전년대비 상품매출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제약사는 JW신약으로 9.9%p 증가했다. 2위는 엔지켐생명과학으로 9.0%p 증가했다. 3위는 화일약품으로 4.4%p 늘었다내수 35억원 증가수출 11억원 감소로 전년비 24억원이 늘었다 4위는 아이큐어(3.8%p), 5위는 동국제약(2.6%p)이 차지했다.

6위는 엘앤씨바이오(2.3%p)이며 공동 7위는 고려제약과 조아제약(2.2%p)이다. 9~10위는 진양제약(1.4%p), 휴온스(0.4%p) 순이다코스닥 평균 매출액 대비 상품매출 비중은 0.5% 소폭 감소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면역항암제, 폐암 치료 성적 높이는 신호탄 되나?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3년 누적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유한양행·종근당 ·GC녹십자·제일약품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3년 누적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유한양행·종근당 ·GC녹십자·제일약품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