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중용량투약군 통증지수 70% 이상 개선"
임상 1상 투약 완료
입력 2024.02.23 09:10 수정 2024.02.23 09:1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강스템바이오텍(대표 나종천)은 22일 골관절염 치료제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의 임상 1상 고용량군 6명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무릎 수술 없이 관절 주사투여를 통해 골관절염 치료를 목표로 하는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 임상 1상의 전체투약이 완료됐다.

이번 임상 1상은 줄기세포 용량에 따라 저용량, 중용량, 고용량 총 세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이를 통해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 및 권장용량을 확인할 방침이다.

저용량군은 지난해 8월 말 투약을 마치고 투약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 MRI 등 평가를 진행 중이며 이달 말까지 영상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영상평가와 함께 연골생성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7종 변화수준 및 유효성을 연계하여 결과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중용량군 경우 지난 10월 투약을 완료했으며, VAS, KOOS, IKDC 등 통증 평가수치와 일상생활을 통해 환자들을 관찰한 결과 통증 및 무릎 기능·활동성과 같은 골관절염 증상이 투약 전 대비 60~70% 이상 개선된 것이 확인됐다. 이는 현재까지 개발된 약물에선 없던 개선율로 무릎 관절 구조적 개선까지 기대되는 수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강스템바이오텍 배요한 임상개발본부장은 “투약이 완료된 저·중용량군 개선 속도 및 정도가 당초 회사 예상보다 신속하고 획기적으로 나타나 중등증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 대한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의 안전성과 유의한 탐색적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중용량군 임상 참여자 중 오랜 시간 골관절염으로 고통받다가 1회 주사투여를 통해 현격한 활동성 개선을 보인 경우도 있어 신약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비록 임상 1상 단계이지만 높은 치료효과와 이를 입증할 수 있는 MRI, 바이오마커 등을 확보해 신약개발 사업적 가치를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2년 82억1000만 달러(약 10조 8240억원)에서 연평균 8.38% 성장해 오는 2032년 183억6000만 달러(약 24조 2021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중용량투약군 통증지수 70% 이상 개선"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중용량투약군 통증지수 70% 이상 개선"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