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는 21일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2024년도 정기총회 및 교류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설립 이후 회원사들이 모두 모여 올해 예산과 계획을 논의한 첫 번째 정기행사다.
정기총회는 △ 개회선언 △ 부의안건 심의 △ 기타 중요사항 보고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23년도 사업보고 및 결산(안), 24년도 예산(안)이 심의 및 의결됐다.
협의회 초대회장인 CJ바이오사이언스 천종식 대표는 “글로벌 경영환경 및 경기의 불확실성이 바이오업계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의 잠재력과 가능성은 여전히 건재하다”며,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분야는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었기에, 향후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업들이 활발한 기술 검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기회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 주요 정책 추진계획 중, 생균치료제에 대한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선제적으로 제시하고 제품화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사항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며 “내부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 및 글로벌 기술 교류들을 활성화하여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협의회가 큰 역할을 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운영위원장인 고바이오랩 고광표 대표는 “금년도 협의회의 주요 사업 계획으로 기술세미나 및 회원사 IR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에 대한 대외 인식을 높이고, 글로벌 기업 및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회원사 간 교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보고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산하 단체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지난해 7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에서 정식 출범하고 발족식을 개최했다. 출범 이후,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산업계 오픈이노베이션, 네트워크 구축 및 규제정립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29개 회원사로 구성된 협의회는 CJ바이오사이언스,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 종근당바이오, 이뮤노바이옴, 에이치이엠파마 등 기업이 함께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확장과 변화, 경계를 넘어"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막 |
2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3 | 아미코젠,차세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비임상 착수..글로벌 SC 제형 주도가속 |
4 | 자누비아 약가 차액 두고 종근당·MSD 공방…피해는 유통업계 몫? |
5 | 수술 돌발상황도 AI가 스스로 대처…"의사 없는 로봇 수술 시대 임박" |
6 |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커피와 빵, ‘당독소’ 주범입니다” |
7 | 미국 환자 1,300만 PTSD 치료제 FDA ‘혁신 치료제’ 지정 |
8 | 하반기 ‘바이오베터’ 후보물질 개발 착수…산‧학‧연 컨소시엄 9월까지 선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는 21일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2024년도 정기총회 및 교류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설립 이후 회원사들이 모두 모여 올해 예산과 계획을 논의한 첫 번째 정기행사다.
정기총회는 △ 개회선언 △ 부의안건 심의 △ 기타 중요사항 보고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23년도 사업보고 및 결산(안), 24년도 예산(안)이 심의 및 의결됐다.
협의회 초대회장인 CJ바이오사이언스 천종식 대표는 “글로벌 경영환경 및 경기의 불확실성이 바이오업계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의 잠재력과 가능성은 여전히 건재하다”며,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분야는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었기에, 향후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업들이 활발한 기술 검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기회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 주요 정책 추진계획 중, 생균치료제에 대한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선제적으로 제시하고 제품화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사항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며 “내부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 및 글로벌 기술 교류들을 활성화하여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협의회가 큰 역할을 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운영위원장인 고바이오랩 고광표 대표는 “금년도 협의회의 주요 사업 계획으로 기술세미나 및 회원사 IR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에 대한 대외 인식을 높이고, 글로벌 기업 및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회원사 간 교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보고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 산하 단체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지난해 7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에서 정식 출범하고 발족식을 개최했다. 출범 이후,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산업계 오픈이노베이션, 네트워크 구축 및 규제정립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29개 회원사로 구성된 협의회는 CJ바이오사이언스,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 종근당바이오, 이뮤노바이옴, 에이치이엠파마 등 기업이 함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