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 월 판매량 140만정 돌파
작년 10월 판매량 100만정 돌파 후 3개월 만…효능·안전성·가격 경쟁력 모두 갖춰 주목
입력 2024.02.14 09:13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올바이오파마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성분명: 피나스테리드)’ 판매량 추이.©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박수진, 정승원)는 자사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성분명: 피나스테리드)’이 지난 1월 한 달간 140만 정 판매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월 판매량 100만 정 돌파 이후 3개월 만으로, 하반기 월평균 판매량 대비 57.9% 증가한 수치다.

헤어그로정의 판매량이 대폭 향상된 요인은 국내 탈모 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탈모 유형 중 헤어그로정의 적응증인 안드로겐 탈모가 가장 흔하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탈모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8년 22만 4,688명에서 2022년 25만 573명으로 4년새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20~30대 젊은 탈모 환자도 매년 10만 명에 육박하고 있어, 탈모 치료에 더 적극 나서는 등 치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1mg 제품별 처방조제액 순위에서 헤어그로정은 6년 연속(2018년~2023년) 상위 5위 안에 들 정도로 빠르게 시장에 안착하며, 꾸준히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한올바이오파마에 따르면 헤어그로정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해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것은 물론이며 합리적인 약가로 최소 3개월 이상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의 부담을 줄였다. 30정 제품과 90정 제품으로 포장 단위를 다변화함으로써 의사의 처방 및 환자의 보관 편의성을 높인 제품이기도 하다.

한올바이오파마 탈모치료제의 성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해부터 탈모제품군을 주력 전략 품목으로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박수진 대표이사 선임 이후 특화 공장 라인을 앞세워 영업마케팅 부분 강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같은 품목 특화 전략이 탈모 제품군 판매량 증가에 주효하게 작용하며 헤어그로정 1월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 월평균 대비 132.6% 증가했으며 또 다른 탈모치료제 아다모정, 탈모보조치료제 판그로의 성장도 이어지고 있다.

한올바이오파마 박수진 대표는 “탈모 치료제 전용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탈모환자들의 복용과 의사들의 처방 편의를 강화하기 위해 제형, 포장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며 “한올은 올해 헤어그로정 월 200만 정 돌파를 목표로 하며, 향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날까지 탈모치료제 품목 강화에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한올바이오파마,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 월 판매량 140만정 돌파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한올바이오파마, 탈모치료제 ‘헤어그로정’ 월 판매량 140만정 돌파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