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젠바이오, 아론티어와 'AI기반 개인맞춤형 암백신 디자인 플랫폼' 공동개발
테라젠바이오, 신항원 백신 연구에 대한 자문 및 실험적 검증 데이터 제공 예정
입력 2024.01.17 10: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왼쪽부터)테라젠바이오 백순명 연구소장, 아론티어 고준수 대표이사가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테라젠바이오

테라젠바이오(연구소장 백순명)는 지난 10일 아론티어(ARONTER)와 AI기반 개인맞춤형 암백신 디자인 플랫폼 공동개발을 위한 계약식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테라젠바이오는 글로벌 유전체 분석서비스 및 AI 기반 신약개발기업이다. 

이번 계약식은 테라젠바이오 본사에서 테라젠바이오 백순명 연구소장, 홍성의 부소장, 김해숙 부소장과 아론티어 고준수 CEO, 손인석 CSO, 김태형 COO, 등 양사의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공동 연구 개발 협약에 따라 양사는 환자 맞춤형 신항원 기반 암백신 개발에 협력한다. 테라젠바이오는 신항원 백신 연구 분야에 대한 최신 지식에 근거한 자문 및 면역원성에 대한 실험적 검증 데이터를 제공하고, 아론티어가 보유한 신항원의 면역원성을 예측하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아론티어는 신항원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열 기반의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신항원과 MHC(pMHC), TCR과의 단백질 결합구조를 활용한다. TCR-pMHC 결합 구조를 모델링하고 예측된 3D 구조 바탕으로 특징들을 추출하고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면역원성을 예측하여 암백신 디자인에 사용될 신항원을 추출한다. 

테라젠바이오는 14년이 넘는 기간 동안 누적된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빅데이터 기반 유전체 분석 플랫폼인 ‘DEEPOMICS®’에 근거한 서열기반 신항원 예측 알고리즘인 DEEPOMICS-NEO® 와 임상 암조직 샘플에서 정확한 변이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DEEPOMICS-FFPE®를 포함한 다양한 BI분석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테라젠바이오 백순명 연구소장은 “유전체 기반 개인맞춤 암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신약개발 기업으로서 향후 암 진단은 물론 맞춤형 신약개발에 이르기까지 유전체 기술을 기반으로 맞춤의학을 실현하고 인류복지와 건강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론티어 고준수 대표는 “이번 계약은 테라젠바이오의 유전체 기술과 아론티어의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개인 맞춤형 암백신 개발 경쟁력을 크게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AI 기반 암백신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국가검진으로 문 연 C형간염 완치 시대…개원가, 주치의 역할 나선다
면역항암제, 폐암 치료 성적 높이는 신호탄 되나?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테라젠바이오, 아론티어와 'AI기반 개인맞춤형 암백신 디자인 플랫폼' 공동개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테라젠바이오, 아론티어와 'AI기반 개인맞춤형 암백신 디자인 플랫폼' 공동개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